Judgment and Emotion (1) - The Problem of the Theory of Judgement in the Logical Investigations -

Phenomenology and Contemporary Philosoph 86:1-31 (2020)
  Copy   BIBTEX

Abstract

이 논문은 후설의 판단 이론의 토대인 『논리연구』의 이론을 『수동적 종합』, C 원고들 등 후기의 작업들의 관점에서 비판하고 대안을 제시한다. 『논리연구』에서 후설은 범주적 직관(kategoriale Anschauung)에 대한 연구를 통해 현상학적 판단 이론에 토대를 놓았다. 그러나 『논리연구』의 판단 이론에는 불충분한 점과 문제가 있었는데, 그것은 바로 파악(Auffassung)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이 없었다는 점, 그리고 파악이 마치 제2의 체험(Erlebnis)처럼 취급되었다는 점이었다. 이러한 점들은 우리가 『수동적 종합』, C 원고들 등 후기의 작업들을 살펴봄으로써 분명해진다. 이를 통해 우리는 후설이 나중에 범주적 파악에 대한 『논리연구』의 이론을 포기한다고 말한 이유도 알 수 있다. 나아가 나는 『논리연구』의 이론을 수정하기 위해 어떤 종류의 감정(Gefühl)이 판단의 핵심적인 부분이라는 가설을 제안한다. 하지만 이에 관한 자세한 서술은 이후의 논문에서 이루어질 것이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3,069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Judgment and Emotion (2) : A New Theory of Judgment. 이종우 - 2022 - Phenomenology and Contemporary Philosoph 95:63-92.
Categorial Intuition and the Theory of Categorial Representation. 이종우 - 2018 - Phenomenology and Contemporary Philosoph 79:1-30.
Sartre and the problem of solipsism. 이솔 - 2016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4:297-313.
Analyzing “Correct Naming(正名)” from the logic of Xun Zi. 김정희 - 2017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79:221-238.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1

Downloads
5 (#1,562,182)

6 months
5 (#710,385)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