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xploration of Virtue Ethics in Hume’s Moral Theory ‒Emotion, Action and the Problem of Akrasia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23:47 (2015)
  Copy   BIBTEX

Abstract

근대도덕철학을 대표하는 칸트윤리학이나 공리주의 도덕이론은 ‘무엇을 하는 것이 옳거나 의무인가’하는 문제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덕의 문제는 무시해 왔다. 근대도덕철학자들과 달리 흄의 도덕이론에서는 덕윤리의 특징들을 발견할 수 있다. 우리는 이를 흄의 『인성론』2권 〈정념론〉의 ‘의지와 동기이론’, 그리고 ‘성격이론’에서 찾을 수 있다. 흄의 덕이론은 도덕적 평가에 있어 행위자가 중심이라는 점과 감정으로부터의 행위를 강조하고 행위의 옳음을 유연하게 이해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나는 이러한 점을 드러내기 위해 흄의 동기이론에서 자제력없음(아크라시아)이 문제가 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 ‘역-아크라시아(inverse akrasia)’의 문제를 통해 어떤 점에서는 덕이 구체성과 결정력과 관련하여 규칙이나 원리보다 더 낫다는 사실을 보이고자 한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3,296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11 (#1,167,245)

6 months
6 (#587,658)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