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enomenological Reading of the Unconscious : Michel Henry and Freud

Phenomenology and Contemporary Philosoph 79:127-147 (2018)
  Copy   BIBTEX

Abstract

이 논문은 ‘무의식의 현상학적 독해’를 제안한다. 이 독해의 시작은 앙리가 밝힌 ‘현상학적 기본 전제’이다. 이 전제가 ‘하나’가 아니라 ‘둘’이라는 사실을 밝힘으로써 앙리의 현상학은 ‘삶의 현상학’으로서 현상학의 역사를 새롭게써 내려간다. 그가 가능케 한 이 ‘삶의 현상학’으로부터 ‘무의식의 새로운 해석’ 또한 가능해진다. 프로이트 무의식의 진술 속에서 앙리는 현상학적 삶을 읽는다. 이 독해의 결과 그는 선언할 것이다. “무의식은 존재하지 않는다.” 또는 “무의식은 삶의 이름이다.” 나는 이 글에서 이 같은 해석의 의의를 되새기고자 한다. 이는 아직도 사상적 면에서 적지 않은 영향력을 발휘하는 정신분석이 앞으로 어떻게 재조명되어야 하는지를 알려주는 첫걸음이 될 것이다. 이런 목적에서 이 글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눠 있다. 첫 번째 부분에서는 ‘현상학적 기본 전제’로부터 ‘삶의 현상학’을 이해하는 데 초점을 맞췄으며, 두 번째 부분에서는 이 새로운 현상학으로부터 ‘무의식 개념의 존재론적 해명’이 어떻게 이뤄지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 같은 논의 과정을 통해 무의식 개념에 대한 앙리 독해의 의의가 어디에 있는지를 밝혀 보이도록 하겠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3,296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Life and Word: Michel Henry’s philosophy whit two languages.Tegu Joe - 2023 - Phenomenology and Contemporary Philosoph 97:31-57.
Foucault and Canguilhem - Science, Life and Subject -. 주재형 - 2018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34:117-147.
“The Second Dogma” and Quine’s Holistic Verificationism. 한상기 - 2017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7:489-508.
Ideal Character and Life Perspective in Gubong Song Ik-phil’s Taoist Thought. 이종성 - 2018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4:463-488.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1

Downloads
5 (#1,562,871)

6 months
4 (#862,833)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