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4
    Forgiveness and Savlatation: The Path to Being Human -From Cheong Jun Lee’s “The Strory of a Worm” and Michel Henry’s Phenomenology of Life-. 이은정 - 2024 - Phenomenology and Contemporary Philosoph 100:73-101.
    이청준의 소설 「벌레 이야기」는 용서와 구원이라는 무거운 화제를 우리에게 던져준다. 용서는 어떻게 가능한가? 절망적 고통의 상황에서 구원은 또 어떻게 오는가? 이청준의 소설은 ‘벌레’라는 상징적 표현을 통해 우리 안의 ‘사람다움’을 묻게 한다. 용서와 구원의 길에서 일탈하지 않고자 우리가 붙잡아야 할 것이 또는 물어야 할 것이 이 ‘사람다움’이다. 용서와 구원은 모두 사람이 사람다워지는 일과 관계가 있다는 것이 이 글의 주된 논점이다. 사람이 사람다워지는 길에서 용서도 구원도 가능한 실천이다. 그렇다면 물어야 할 중요한 질문은 다음이다. 사람이 무엇인가? 그 해답을 주는 것이 앙리의 삶의 현상학이다.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1
    Areas of Artistic Excellence Embodiment. 이은정 - 2019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8:131-150.
    산타야나는 그의 전체 미학의 전개에서 예술의 가치야말로 우리의 행복에 매우 중요하고 의미 있는 것임을 강조한다. 그의 방대한 저서들이 견지하는 논지의 대부분은 행복, 즉 인간에게 가능한 가장 큰 행복은 이성의 삶을 추구할 때 달성된다는 것이다. 산타야나는 이처럼 행복을 얻기 위해 시도할 때마다 이성이 매우 중요하다는 논지를 한 번도 포기한 적이 없다. 나아가 이러한 행복을 추구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들 중에서 우리는 이성적 구현을 통한 예술 속에서 가장 구체적이며 고양된 행복에 도달할 수 있게 되며, 행복을 형성하는 것은 바로 미적 쾌임을 강조한다. 무엇보다도 이러한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5
    Descartes’ Cogito and Freud’s Unconscious - Through Michel Henry’s Phenomenology -. 이은정 - 2021 - Phenomenology and Contemporary Philosoph 88:1-35.
    미셸 앙리는 1985년 출간한 『정신분석의 계보-잃어버린 기원』에서 프로이트가 데카르트의 계승자라는 놀라운 진술을 펼친다. 그를 따르면 무의식 개념은 의식 개념으로부터, 좀 더 정확히 말해 그 ‘일탈’로부터 나왔다. 의식 개념의 일탈에서 보면 그것은 무의식이지만, 데카르트가 확립한 최초의 의식 개념으로 회귀해 보면 그것은 의식과 다르지 않다. 이 같은 독해를 이해하려면 먼저 후설의 ‘순수 환원’에 반대하여 미셸 앙리가 요구한 ‘근본적 환원’의 의미를 파악해야 한다. 이 근본적 환원의 수행 속에서만 데카르트가 발견하고 후설이 놓친 코기토의 현상학적 의미가 모습을 드러낸다. 코기토에 대한 앙리의 독창적 해석은 하이데거식 해석에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  11
    A Contemplation of Roles of Social Workers with Lao-Tzu’s Tao Te Ching.Giduk Kim, 이은정, Choi Myung Min, Kimsungchun & Seung-Hee Park - 2014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77:7-41.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5.  5
    Phenomenological Reading of the Unconscious : Michel Henry and Freud. 이은정 - 2018 - Phenomenology and Contemporary Philosoph 79:127-147.
    이 논문은 ‘무의식의 현상학적 독해’를 제안한다. 이 독해의 시작은 앙리가 밝힌 ‘현상학적 기본 전제’이다. 이 전제가 ‘하나’가 아니라 ‘둘’이라는 사실을 밝힘으로써 앙리의 현상학은 ‘삶의 현상학’으로서 현상학의 역사를 새롭게써 내려간다. 그가 가능케 한 이 ‘삶의 현상학’으로부터 ‘무의식의 새로운 해석’ 또한 가능해진다. 프로이트 무의식의 진술 속에서 앙리는 현상학적 삶을 읽는다. 이 독해의 결과 그는 선언할 것이다. “무의식은 존재하지 않는다.” 또는 “무의식은 삶의 이름이다.” 나는 이 글에서 이 같은 해석의 의의를 되새기고자 한다. 이는 아직도 사상적 면에서 적지 않은 영향력을 발휘하는 정신분석이 앞으로 어떻게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6.  9
    마음지킴(Sati) 기반 명상 실습수업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예비적 고찰. 이은정 - 2019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94:473-496.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