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Lao Tzu’s Annotation for the Joseon Confucian scholars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29:61-90 (2020)
  Copy   BIBTEX

Abstract

조선 시대 유학자들의 노자 담론은 ‘벽이단론’과 ‘이유석도’의 관점에서 진행된다. 이들 관점은 주자에 의해 최초로 제기되었다. 따라서 조선의 유학자들은 주자학의 관점으로 노자 담론을 형성했다고 볼 수 있다.BR 왜 조선 유학자들은 주희의 노자 담론에 따라 노자 담론은 재생산하는가라는 문제를 제기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대답은 철학적으로 다루지지 않았다. 이 문제를 철학적으로 해명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셸 푸코의 담론이론을 적용해 논의를 진행해 보았다.BR 그 결과 주희 자신이든 조선 유학자이든 간에 노자 담론의 생산에서 권력이 작동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권력은 이단 담론의 생성과 전개에서 작동된 저자의 원리, 동일성의 놀이, 담론의 경찰로 작동하고 있었다. 동일성의 놀이로 제시된 이단 담론은 맹자와 주희에게서 기원한 이단 담론이며, 담론의 경찰로서 제시된 원리들은 노자의 주석을 다양한 입장에서 생산하더라도, 결국 그 주석에 부과되는 통제의 원리로 작동하고 있었다.BR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첫째, 유학자들은 오도(吾道)를 부지(扶持)하기 위한 ‘진위의 대결’의 과정에서 노자 담론을 생산한 것이었다. 둘째, 유학 내부의 담론에서 제기될 수 있는, 유학적 관점에서 통제되지 않는 노자 담론이 생성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동일성의 놀이라는 방식으로 노자 담론을 제한한 것이다. 통제되지 않은 노자 담론을 제한하고 지배하기 위해, 다시 말해 유학에서 벗어나 노자 담론 자체를 생산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권력의 행사인 동일성의 놀이로서 노자 담론을 생산한 것이었다.BR 결론적으로 정리하자면, 조선 유학자들의 노자 담론은 그것을 제한하고 지배하고자 한 담론 권력이 행사되고, 담론의 경찰과 담론의 동일성이 작동된 결과이다. 이는 벽이단론에서도 나타나고 노자 주석서들에서도 나타난다. 조선 유학자만의 독특한 노자 담론은 존재하지 않는다. 조선 유학자들의 노자 담론은 주희의 이단 담론에 대한 규정에 따라 ‘시원으로서의 원리’, ‘영역들’, ‘방법들’, ‘명제들’, ‘규칙과 정의들’을 충실히 따르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이단 담론에 적용된 권력이 우연을 지배하려고 하고, 위험을 제거하기 위해 작동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3,069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The instruction of comparative study on Lao Zi Note of Park Sae Dang and Hayashi La Zan. 조한석 - 2010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28 (28):297-329.
The Implications of “1(一)” or the “One” in Laozi Teh Ching. 정달현 - 2017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8:21-44.
The High Way and Shorter Way : In regard to a final choice of Yulgok's Suneon. 이종성 - 2016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75:71-95.
『노자』에서 ‘玄’字 의미 연구. 탁양현 - 2009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60:187-214.
The Kinship between Lao Tzu’s Dialectic Thought and the Book of Changes.Chengri Piao & Seongchul Yun - 2023 - CHUL HAK SA SANG - Journal of Philosophical Ideas 88 (88):3-42.
노자의 리더십 - ????노자???? 제2장과 제67장의 내용을 중심으로 -.Jongsung Lee - 2019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93:257-285.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1

Downloads
4 (#1,643,580)

6 months
1 (#1,516,021)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