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High Way and Shorter Way : In regard to a final choice of Yulgok's Suneon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75:71-95 (2016)
  Copy   BIBTEX

Abstract

『순언』은 『노자』를 전체 40장으로 재편장하여 구결과 주해를 붙인 율곡의 『노자』주석서이다. 이 글은 『순언』의 결론에 해당하는 『순언』 제40장의 내용을 제39장의 내용과 연계시켜 그 입론의 의의를 검토하고자 한 것이다. 율곡은 『노자』제53장의 내용 중에서 큰길과 곁길에 관한 선택의 문제를 『순언』의 최종 결론으로 선택한다. 이것은 큰길과 곁길 가운데 큰길에 대한 선택을 종용하는 율곡적 사유의 결론에 해당한다. 큰길이 대도를 상징하는 것과는 다르게 곁길은 샛길이나 삿되게 기울어진 길을 의미한다. 대도에 해당하는 큰길은 일반적으로 ‘자연’이나 ‘천리’로 인식되는 반면 곁길은 ‘인위’나 ‘인욕’으로 파악된다. 노자는 ‘저것을 버리고 이것을 취하라’고 한다. 율곡 역시 이러한 노자의 사유를 자신의 성리학적 사유방식 안으로 원용하여 ‘저것을 버리고 이것을 취하라’는 노자의 입장에 동조한다. 이때 버려야 할 부정의 대상은 인위와 인욕으로 대변되는 반면 취해야 할 대상은 자연과 천리로서 대변된다. 다만 노자는 인위를 버리고 자연을 취하라고 한 반면 율곡은 인욕을 버리고 천리를 취하라고 한 서로간의 입장의 차이가 있을 뿐이다. 율곡이 『순언』의 종장에서 큰길과 곁길의 문제를 거론한 이유는, 사람들이 도의 실천이 매우 쉬운 것임에도 불구하고 아무도 이를 실행하지 못하는 현실이 한탄스러웠기 때문이다. 누구나 도를 행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열려 있음에도 세상 사람들은 큰길보다는 곁길만 선택하는 현실이 안타까웠던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내용을 통해볼 때, 율곡이 본 노자철학의 핵심은 공허한 관념의 유희나 허무주의적 도피주의와는 거리가 멀다. 노자철학의 핵심은 도를 실천하는 일이다. 곁길로 가지 말고 큰길로 가라는 것 역시 도를 실천하는 일을 은유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3,642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The Emptying Mind of Lao-tzu and Zhuangzi in SunEon and NamHwaGyeongJooHaeSanbo. 김학목 - 2020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3:105-129.
The Kinship between Lao Tzu’s Dialectic Thought and the Book of Changes.Chengri Piao & Seongchul Yun - 2023 - CHUL HAK SA SANG - Journal of Philosophical Ideas 88 (88):3-42.
The instruction of comparative study on Lao Zi Note of Park Sae Dang and Hayashi La Zan. 조한석 - 2010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28 (28):297-329.
A Study on Lao Tzu’s Annotation for the Joseon Confucian scholars. 이봉호 - 2020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29:61-90.
The Implications of “1(一)” or the “One” in Laozi Teh Ching. 정달현 - 2017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8:21-44.
Philosophy and Literary Metaphors within Ideology of 『Sipjipum』of 『Avatamsaka Sutra』. 강기선 - 2017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9:1-30.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2 (#1,450,151)

6 months
3 (#1,723,834)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