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doption of the Laozi’s View on Dao and Qi in Yizhuan and its New Interpretation - Is Yizhuan a Work Belonging to the Taoist School?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9:271-291 (2020)
  Copy   BIBTEX

Abstract

陳鼓應은『易傳』을 道家의 저작으로 보고, 도가사상이 『역전』철학의 主要骨幹임을 주장했다. 그는 「繫辭傳」의 道器說 또한『老子』에 근원한다고 하였다.『노자』는 중국철학사에서 처음으로 道器에 대해 언급하였고,『계사전』은 노자의 이런 관점을 발전시켜 도기를 철학범주로 만들었다. 본 논문은 『역전』의『老子』 道器觀의 수용 문제에 대한 분석이 중심이다. 이 글의 목적은『역전』이 노자의 道器개념을 수용하여 어떻게 창조적으로 해석하는가라는 문제에 초점이 있다.『역전』은 道와 器를 形而上과 形而下로 나누어 본체와 현상이라는 관점에서 세계를 해석한다. 『역전』은 노자의 道論을 수용하여 우주관과 자연관을 구성하고, 人道와 인간사회 발전에 본체론적 근거를 제공한다.『노자』에서 道는 우월하고 器는 열등한 差等이 있다.『老子』는 無爲自然을 칭송하여 문명적 器와 멀어지려 하지만, 『역전』은 器를 인류 문화의 상징으로 보아 그것을 만든 사람들을 모두 성인으로 끌어올린다. 道器觀이야말로 『老子』를 道家 經典으로,『역전』을 儒家經典으로 나누는 분기점이라고 하여도 지나친 말은 아닐 것이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3,642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Unity with Heaven and Man by Yangchon Kwonkun. 김기화 - 2010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62 (62):7-38.
反思機器人的道德擬人主義.Tsung-Hsing Ho - 2020 - EurAmerica 50 (2):179-205.
The Implications of “1(一)” or the “One” in Laozi Teh Ching. 정달현 - 2017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8:21-44.
The instruction of comparative study on Lao Zi Note of Park Sae Dang and Hayashi La Zan. 조한석 - 2010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28 (28):297-329.
Xunzi’s Theory of Justice and Utility and Economic Ethics. 박영진 - 2011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82):339-366.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3 (#1,213,485)

6 months
3 (#1,723,834)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Sorry, there are not enough data points to plot this chart.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