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struction of comparative study on Lao Zi Note of Park Sae Dang and Hayashi La Zan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28 (28):297-329 (2010)
  Copy   BIBTEX

Abstract

이 논문은 박세당(朴世堂)의 {新註道德經}과 하야시라잔(林羅山)의 {老子抄解} 비교 연구를 위한 기본 자료를 정리한 정리형 논문이다. 필자는 ‘박세당의 {신주도덕경}과 하야시라잔의 {老子抄解} 비교 연구’에서 주목했던 점은 첫 번째, “박세당과 하야시라잔 둘 모두 당면한 시대의 사상적 도그마를 극복하려고 했다는 점”이며, 두 번째, “박세당과 하야시라잔이 지향한 공통적 사유, 곧 ‘기성의 질서를 넘어서’라는 사상적 도전 과정에 그들의 {노자} 주석이 그 역할의 일부를 수행하고 있다”라는 것이다. 하야시라잔의 {노자} 해석은 임희일의 {노자권재구의}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고 있으며, 노장 이해도 임희일의 연장선에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하야시라잔은 {노자}에 대한 유가적 해석을 견지하고 있는 반면, {장자}에 대해서는 유가적으로 해석하려는 어떠한 시도도 하지 않았다. 결국 하야시라잔에게 있어서 ‘임희일의 노장 이해에 대한 반전’은 일어나지 않았던 것이다. 하야시라잔의 도가 사상 수용은 일차적으로는 ‘{노자} 수용’을 의미하며 좀 더 세밀하게 지적한다면 ‘도가 일반’이나 ‘{노자} 일반’이 아닌 특정한 하나의 관점 곧 ‘임희일의 {노자권재구의}’를 수용했던 것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반면 박세당의 {신주도덕경}은 임희일 주석에 대한 의존도가 높지 않다. 그는 {노자}와 {장자}에 대한 유가적 해석을 진행하면서 유가 경전이나 임희일의 주석을 답습하는 간접적 해석 방식을 지양하고 유가와 도가의 사상적 공유지점을 ‘修身治人’으로 지목하고, 이어서 {장자}「제물론」 成心의 개념적 내포를 성선론적 性의 개념적 내포와 동치시키는 보다 직접적 방식을 통해서 도가 경전에 대한 유가적 해석을 진행하고 있다’라고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임희일이나 하야시라잔이 ‘유가적 입장에서 {노자}를 수용했던 것과 달리 박세당은 유가적 입장에서 {노자}와 {장자}를 수용했다고 비교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3,642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The Zhuangzi in the Tang Dynasty’s Painting Theories. 강여울 - 2021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6:1-21.
Xunzi’s Theory of Justice and Utility and Economic Ethics. 박영진 - 2011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82):339-366.
A Study on Lao Tzu’s Annotation for the Joseon Confucian scholars. 이봉호 - 2020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29:61-90.
On Jing and Shen in the Philosophy of The Great Learning and The Doctrine of the Mean. 정세근 - 2016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74:143-161.
An Ontological Interpretation of “WE”. 이섭 - 2017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19:237-264.
The Implications of “1(一)” or the “One” in Laozi Teh Ching. 정달현 - 2017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8:21-44.

Analytics

Added to PP
2023-02-28

Downloads
1 (#1,722,932)

6 months
3 (#1,723,834)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