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3
    A study on the Educational Views from ‘Natality’ by Hannah Arendt in “The Crisis of Education”. 임정아 - 2016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81:505-526.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7
    On Negative and Positive Liberty - The Case of J. S. Mill. 임정아 - 2010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57:27-46.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On the Concept of Mill's Democratic Liberty - Beyond Berlin's Two Concepts of Liberty. 임정아 - 2011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59:101-115.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  5
    On the Political Freedom of Mill and that of Arendt – Focusing on Freedom of Demos of Athene Polis -. 임정아 - 2022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7:201-219.
    이 글에서 연구자는 고대 아테네인의 자유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정치적 자유가 사적 자유를 억압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정치적 자유가 필요하다고 주장하는 밀과 아렌트의 ‘정치적 자유’를 말하고자 한다. 정치적 자유를 말하는 철학자들의 정치적 자유 개념들 가운데, 밀의 ‘정치적 자유’ 개념과 아렌트의 ‘정치적 자유’ 개념 간에 분명히 내용상 차이가 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두 철학자는 공통적으로 고대 그리스 아테네의 민주주의에서 논쟁적이고 숙고적인 성격에 의미를 부여하고 개인이 자율적으로 판단하고 주권을 갖는 것에 정치적 자유의 근거를 두고 있다는 점에 연구자는 주목한다. 그리하여 근대의 정치철학자들이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5.  2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ustice and Sympathy - On the Perspective of Hume -. 임정아 - 2017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0:403-422.
    흄(D. Hume)의 경험주의적 윤리관에 대한 연구들에서 발견할 수 있는 공통적인 요소는 흄의 도덕에서 ‘공감’이 중요한 윤리적 감정이고 이것이 편파성 혹은 한계를 갖는다는 것이다. 흄의 관점에 의하면 인간 내면에 이기심, 편파성, 근시안적 요소들이 있고 모든 인간은 공감을 갖는다. 인간은 사회를 지속시키기 위해, 이기심, 편파성 등을 극복해야 하고, 공감의 편파성을 넘어서야 한다. 공감은 자연적으로 확장되지 않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정의가 필요하다. 그리고 제도와 관습이라는 형식적 틀로서의 인위적 정의는 감정과 같은 인간 본성에 작용하는 공감의 역할을 들뢰즈(G. Deleuze)는 높이 평가한다. 즉 흄의 정의는 인간 본성,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6.  4
    The Democratic Implication of Philosopher Queens in Plato’s the Republic. 임정아 - 2020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2:569-586.
    달(Robert Dahl)은 플라톤의 수호자 주의가 대다수 시민이 스스로 통치할 정치적 능력이 없음을 가정하며, 시민의 참여를 통한 자율적 능력 개발을 차단한다고 비판한다. 다른 한편, 『국가』 제5권에서 여성수호자를 인정한 것에 대해 오킨(S.M. Okin)은 플라톤을 남녀평등을 주장한 여성주의자로 분류한다. 달의 비판대로 플라톤의 수호자집단에 의한 지배는 민주적인 정치체제라고 보기 어렵다. 한편, 플라톤이 말하는 수호자집단을 보면, 당시 배제된 집단인 여성을 수호자로 받아들이고 있다. 그렇다면 그 집단의 여성은 통치할 정치적 능력을 가진 존재로 인정되어 집단 내에서 평등한 대상으로 여겨진 것이고, 또한 실행가능한 자유를 최대한 실현하는 기회의 평등이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