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n der „Anschauung“ zur „Existenz“: Der problemgeschichtliche Ursprung der gedanklichen Wende Schellings gegen die Identitätsphilosophie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16:153-192 (2017)
  Copy   BIBTEX

Abstract

이 글은 동일성철학의 성립과 철회라는 셸링의 사상적 전개가 어떠한 문제사적인 연유에서 비롯된 것인지를 밝히는데 일차적인 목적을 둔다. 이와 관련하여 필자는 본 논문에서 특히 다음과 같은 주장을 입증하는데 주안점을 둔다. 셸링의 1806년 저작에서 이미 분명히 확인되는 그의 탈동일성철학적 전회는, 동일성철학에 대한 에셴마이어의 비판과 이로부터 촉발된 셸링과 에셴마이어 간의 동일성 논쟁으로부터 결정적으로 추동되었다. 지금까지의 셸링 연구에서 제기되지 않았던 이러한 주장을 입증하기 위해 필자는 본문 3장에서 동일성 철학을 둘러싼 셸링과 에셴마이어 간의 논쟁 과정을 재현한다. 이어지는 본문 4장에서는 동일성 논쟁 과정에서 에셴마이어가 시종일관 견지한 반동일성철학적 입장이, 셸링의 1806년 저서에서 드러나는 자기 비판적 진술과 가지는 긴밀한 유사성에 바탕하여 셸링의 사상적 전회가 에셴마이어의 반동일성철학적 입장의 수용으로 이해될 수 있다는 점을 보인다. 아울러 셸링의 탈동일성철학적 전회의 문제사적 연유에 대한 이러한 재구성을 통해 본 논문은 이성의 자기정당화의 가능성 해명이라는 칸트 이후 독일고전철학의 커다란 과제가 어떠한 난제를 안고 있는지를 예시적으로 보이고자 한다. 이를 위한 도입으로 본문 2장에서는 칸트로 거슬러 올라가는 동일성철학의 문제사적 배경을 살핀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2,953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The State and Church in Kierkegaard’s Philosophy. 오신택 - 2024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106:175-199.
Personal Identity in Parfit and Kant. 박경남 - 2021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49:143-179.
Transhumanism and the Problem of Personal Identity. 이재숭 - 2023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12:201-217.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1

Downloads
4 (#1,641,599)

6 months
1 (#1,514,069)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