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helling’s Philosophical Clarification and Religious Reflection on the Reality and Overcoming of Evil in Philosophical Inquiries into the Essence of Human Freedom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166:205-232 (2023)
  Copy   BIBTEX

Abstract

셸링의『인간자유의 본질에 관한 철학적 탐구』는 자유에 대한 혁신적인 규정을 통해 인간행위의 본성에 대한 연구에서 획기적 전기를 마련했고, 악을 선 못지않게 적극적인 것으로 규정함으로써 악에 대한 새로운 성찰의 가능성을 제공하였다. 셸링은 신이 자신의 본질을 구분하여 세계를 생성하는 과정을 역동적으로 그려내며 지성과 근거의 두 원리가 다양한 피조물을 형성하는 원리를 밝혀냈고 이러한 신의 자기계시는 인간에게서 그 정점에 달하는데, 정신으로서의 인간은 이 두 원리를 구분하여 분리할 수 있는 독특한 능력을 부여받은 것으로 묘사된다. 인간의 자유는 개별의지와 보편의지로 표현되는 두 원리 사이의 위계질서를 조정하는 능력으로 이해된다. 본래적 질서는 근거의 개별의지가 지성의 보편의지 아래에 놓여있는 것인 반면, 인간은 자신의 개별의지를 보편의지보다 상위에 두는 ‘악’을 감행할 수 있는 유일한 존재가 된다. 이를 통해 계시의 존재론적 구조는 이러한 악이 가능하도록 돼 있고, 그런 의미에서 악은 신의 자기계시에 필연적이라는 이해가 가능하다. 하지만 악을 허용하는 것을 넘어서서 계시에 필요한 것으로 만드는 것은 신의 정당성과 완전함을 훼손하는 일이라는 비판이 있어왔다. 이에 본 논문은 셸링의 이론이 이러한 비판을 효과적으로 반박하고 악의 주체는 어디까지나 인간이라는 점을 밝히고자 한다. 하지만 악을 선택하고, 또한 극복하는 진정한 원인에 관한 물음에서는 셸링의 답변이 부족함을 또한 지적할 것이다. 이를 통해 윤리적 관점에서 악의 주체를 밝히는 작업의 성공적인 결과와는 달리 악에 대한 최종 결정과 해방에 있어서는 무기력하고 신에게 기대야 하는 인간의 모습을 그리는 셸링 이론의 한계가 드러날 것이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3,127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The Forking Paths Model and the No Constraints Model of Freedom and Moral Responsibility. 이희열 - 2017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0:381-401.
니체의 새로운 종교성과 신의 빈자리. 이관표 - 2017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9:227-245.
The Eternity of Finite Individuals in Spinoza’s Ethics. 현영종 - 2019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6:445-462.

Analytics

Added to PP
2023-06-14

Downloads
11 (#1,167,245)

6 months
7 (#491,177)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