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derstanding of Death in the Post-COVID 19 Era: Focusing on Heidegger and Sartre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30:303-332 (2020)
  Copy   BIBTEX

Abstract

본 논문은 포스트 코로나바이러스 시대에 죽음을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는지에 대해 하이데거와 사르트르의 죽음관을 중심으로 조명하고 있다. 먼저 코로나19가 초래한 팬데믹 상황에서 죽음의 현상을 진단해 보고, 하이데거와 사르트르의 죽음관을 차례로 살펴본 후, 코로나19로 인한 죽음에 대해 논의한다. 그 과정에서 본 논문은 하이데거가 말한 세인의 삶, 즉 ‘죽음을 망각하는 비본래적 삶’이 포스트 코로나바이러스 시대에도 여전히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세인의 비본래성은 ‘죽음에 대한 불안’이 아닌 ‘전염에 대한 불편’에서 기인하고 있음을 규명하고 있다. 여기서 다루게 될 죽음에 대한 논의는 두 가지 측면이다. 첫째, 코로나19의 전염 가능성 안에서 살게 된 현대인들이 어떻게 죽음을 ‘염려’하며 자신의 ‘본래성’을 회복해 나갈 수 있는가에 대한 논의이다. 여기서는 포스트 코로나바이러스 시대에 확진자는 ‘피해자’인 동시에 ‘운반자’로서의 지위를 가진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 시대의 본래성 회복은 ‘피해자로서 자기 자신의 죽음에로 미리 달려가 봄’과 ‘운반자로서 타인의 죽음에로 미리 달려가 봄’을 함께 고려할 때, 비로소 가능할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둘째, 코로나19가 초래하는 우발적 죽음으로 인해 갑작스레 고인을 떠나보내야 하는 유가족들이 어떻게 이러한 죽음을 수용할 수 있는가에 대한 논의이다. 이에 대해서는 ‘즉자’가 되어버린 고인 앞에서 ‘대자’인 나의 시선을 언제나 승리하는 시선으로 보는 사르트르의 관점을 재해석하여, 기억의 재구성을 통한 애도의 가능성과 사회적 추모의 필요성에 대해 해명하고 있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2,953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Problem of Shame in the Post-COVID 19 Era : Focusing on Sartre. 최혁 - 2021 - Phenomenology and Contemporary Philosoph 89:1-30.
Mourning and Forgiveness of the Death. 공병혜 - 2020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2:23-45.
Zhuangzi’s View on Death and Its Philosophical Implications. 오현중 - 2021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6:163-182.
Sartre, Kant, and the Ethics of Authenticity. 설민 - 2018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20:55-87.
Na nŭn ŏttŏk'e chugŭl kŏt in'ga.Yŏng-an Kang (ed.) - 2016 - Kyŏnggi-do P'aju-si: 21-segi Puksŭ.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1

Downloads
2 (#1,817,116)

6 months
1 (#1,514,069)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