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Ⅰ on the Idea of Sinjung(神衆) Contained in 『The Avatamska Sutra』 - Focusing on 「Sejumyoeompum」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8:1-22 (2022)
  Copy   BIBTEX

Abstract

본 논문은 「화엄경에 담긴 화엄신중사상 연구를 80권본 「세주묘엄품」을 중심으로 살펴본 글이다. 부처님 재세 시에 등장하는 신중은 주로 천신들이었다는 것을 『아함경』을 통해 알 수 있다. 화엄성중은 다른 말로 ‘화엄 신중’, 또는 ‘화엄신장’이라고 부르기도 하고, 줄여서 ‘신중’이라고 할 만큼 불자들에게 꽤 친숙하고 익숙한 이름이다. 왜냐하면 이러한 호칭은 사찰의례에서 오늘날까지 신앙의 형태로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BR 신중(神衆)은 불교경전 곳곳에서 다양한 형태로 산발적으로 교설되어 있는데 비해, 『화엄경』의 「세주묘엄품」에서는 세간의 주인에 대하여 보현보살이 설주가 되어 집중적으로 교설하고 있다. 『화엄경』에서 신중(神衆)은 교리적으로는 그들이 증득한 해탈법문을 교설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화엄성중으로써 역할까지 하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BR 이글에서는 잡류에 해당되는 신중들을 화엄의 수행계위인 십주에 배치하여 신중사상을 분석해보았을 때, 가장 큰 특징은 이들 신중들을 각각의 십주의 열 가지 항목에 배치한 교설이라는 것이다. 보살을 십주의 초지인 발심주(發心住)에 배치하고 난 후에는, 9부류의 신중들을 나머지 주(住)에 배치하고 있다. 즉, 제2 치지주(治地住)는 집금강신에, 제3수행주(修行住)에 신중신을, 제4생귀주는 족행신에, 제5구족방편주(具足方便住)는 도량신에, 제6정심주(正心住)는 주성신에, 제7불퇴주(不退住)는 주지신에, 제8동진주(童眞住)는 주산신에 제9법왕자주(法王子住)는 주림신에, 제10관정주(灌頂住)는 주약신에 배치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달리 태어난 대중[異生衆]들 중에서 잡류의 여러 신중들이 증득한 해탈문도 다양하게 품에 설해져 있다. 따라서 오늘날 한국 불교의 굳건한 신앙으로 자리매김한 근본 시발점은 바로 이 품에서 등장한 이러한 화엄 신중들로부터 그 근거를 찾아볼 수 있다고 하겠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3,779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Education Philosophy Conveyed within 「Daśabhūmika-varga」 of 『Avatamsaka-Sutra』. 강기선 - 2018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3:1-25.
Philosophy and Literary Metaphors within Ideology of 『Sipjipum』of 『Avatamsaka Sutra』. 강기선 - 2017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9:1-30.
象山學의 學問的 淵源과 心卽理에 관한 硏究. 염호택 - 2009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53 (53):423-445.
A Study on Empathic Communication Found in 「Ipbeopgye-Varga」of 『Avatasakasūtra』. 강기선 - 2020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0:1-18.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3 (#1,730,340)

6 months
3 (#1,206,053)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Sorry, there are not enough data points to plot this chart.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