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Shift of the Nature of Buddha as Appearing in the Buddhist Ideology in China - Focused on 『Yeoraechulhyeonpum』 and 『Bowangyeoraesunggipum』 of Avatamsaka Sutra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1:29-58 (2018)
  Copy   BIBTEX

Abstract

본 연구는 ‘중국불교사상에 나타난 佛性의 변천과 여래장적 해석-『화엄경』 「여래출현품」과 「보왕여래성기품」을 중심으로-’에 대하여 살펴본 글이다. 그 결과 여래장 개념의 변천사는 ‘여래장→불성→여래성기→여래출현’순으로 점차 변화되었음을 경전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여래장의 개념의 기원은 초기경전인 『증일아함경』중에서 찾아볼 수 있었는데, 여기서 언급된 용어는 ‘如來藏’이라는 것이다. 『증일아함경』 이후에는 이 용어는 더 이상 초기경전에서는 찾아볼 수 없었다. 그러나 부파불교이후 초기 대승경전의 출현과 발전에 따라 ‘여래장’이란 용어가 언급되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경전으로는 『大方廣如來藏經』, 『대방등여래장경』과 『보성론』, 『승만경』이나 『대반열반경』, 『불성론』 등의 여래장계통 경전과 『화엄경』 등이다. 이들 경전 중에서 구체적으로 ‘여래장’이라는 의미를 설명하고 있는 경전은 『대방등여래장경』과 『대방광여래장경』이다. 그리고 ‘불성’이라는 용어가 나타난 최초의 경전은 『앙굴마라경』으로 보인다. 여기서 구체적으로 ‘불성’이라는 개념을 언급하고 있고, 이후 『대열반경』에서도 모든 중생에게 佛性이 있다고 설하고 있다는 것을 시작으로 차츰 여래장이라는 용어가 불성으로 변화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중국의 혜원스님(523∼592)은 佛性을 『대승의장』에서 ‘性’을 ‘佛性 · 如來性 · 如來藏性’으로 풀이한 반면, 중국화엄의 제1조인 두순스님과 제2조 지엄스님은 불도실천의 입문관으로서 불성관과 여래장관으로 여래장사상을 이해하고 있다. 특히 지엄스님은 이 마음을 청정한 진심으로 해석하고 동시에 이를 여래장 · 불성의 본성으로 보고 있는데, 이것은 『화엄경』유심사상의 여래장적 해석이라 할 수 있어 주목된다. 그리고 제3조인 법장스님도 ‘여래장연기’로 받아들이고 있다. 『화엄경』에는 여래장설이 직접적으로 설해지진 않으나, 중국의 『화엄경』의 주석가들은 자신이 이미 알고 있던 여래장사상을 바탕으로 하여 『화엄경』을 풀이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BR 본 연구의 주 텍스트 화엄대경의 경우, 구역60권본 『화엄경』 「여래보왕성기품」에서는 ‘여래성기’로 호칭되었다. 이에 비해 신역 80권본의 「여래출현품」은 ‘여래출현’의 용어로 사용되었으나, 여래장과 불성 그리고 여래성기와 여래출현은 둘 다 如來藏的의미로써 동일하다. 왜냐하면 『화엄경』에 깃들여있는 여래지 · 법신 등의 다양한 여래장적 변용의 교설은 일체중생의 성불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포함한 중국화엄교학의 특징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佛性에 대한 여래장적 해석을 「보왕여래성기품」과 「여래출현품」에서 다양한 비유로써 發現하고자 하는 근본大義는 모든 악을 저지르지 말고 모든 선을 행하여 스스로 그 마음을 깨끗이 해야 한다는 데 있다. 청정한 三業은 우리 내면에 숨어있던 佛性의 찬란한 광명을 온전히 드러낼 수 있다는 희망의 메시지를 우리에게 던져주고 있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3,774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A Study on Empathic Communication Found in 「Ipbeopgye-Varga」of 『Avatasakasūtra』. 강기선 - 2020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0:1-18.
Philosophy and Literary Metaphors within Ideology of 『Sipjipum』of 『Avatamsaka Sutra』. 강기선 - 2017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9:1-30.
Education Philosophy Conveyed within 「Daśabhūmika-varga」 of 『Avatamsaka-Sutra』. 강기선 - 2018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3:1-25.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5 (#847,061)

6 months
4 (#1,635,958)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