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cussion on ideas and literary characteristics within 『Bohyeonhaengwonpum』 of Avatamsaka Sūtra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6:1-22 (2016)
  Copy   BIBTEX

Abstract

이 글은 ‘『화엄경』「보현행원품」의 사상과 문학적 담론’에 대하여 문학의 敍事構造와 散文그리고 韻文의 特性, 이품(品)에 함의된 철학적 특성을 중심으로 살펴본 논문이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불후의 명작이라 불리는 고전작품은 예술성과 윤리성이라는 두 개의 정신이 서로 알맞게 조화를 이루고 상호 보완적인 관계 속에 놓여있는 것을 목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살펴본 『화엄경』보현행원의 10가지 행원의 노래는 이러한 정신을 含意하고 있는데, 여기서 고도의 문학적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보현행원품 은 『화엄경』의 마지막 결론에 해당되는 내용으로, 선재동자의 구법행각의 마지막 장면에 포함되는 품으로, 이 글의 목적은 『화엄경』「보현행원품」에 대한 문학적인 접근을 통해서 『화엄경』 「보현행원품」에 담긴 서사구조와 산문, 그리고 운문의 특성을 해석함으로써, 문학적 담론을 분석해보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통해서 기대되는 효과는 대승경전의 문학성과 보현행원품 에 담긴 문학적 담론에 따른 인본주의적인 접근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화엄경』「보현행원품」은 설화적․종교적․교리적 차원의 단순한 경전이 아닌 대승적․독창적․문학적 차원의 수승하고 창조적이면서도 풍부한 문학담론과 예술적인 작품성을 동시에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병든 현대인의 정신을 치유할 수 있다. 불교는 깨달음과 실천이 항상 동행하는 것[上求菩提下化衆生]이라 할 수 있는데, 이것을 「보현행원품」에서 여지없이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보현행원품」 은 悟道를 지향하는 모든 구도자의 피나는 수행에 대한 결과는 반드시 보현보살의 10가지 행원으로 귀결되어야 한다는 메시지를 던져주는 감동적인 가르침이라 할 수 있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3,774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Education Philosophy Conveyed within 「Daśabhūmika-varga」 of 『Avatamsaka-Sutra』. 강기선 - 2018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3:1-25.
Philosophy and Literary Metaphors within Ideology of 『Sipjipum』of 『Avatamsaka Sutra』. 강기선 - 2017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9:1-30.
A Study on Empathic Communication Found in 「Ipbeopgye-Varga」of 『Avatasakasūtra』. 강기선 - 2020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0:1-18.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6 (#711,559)

6 months
3 (#1,723,834)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