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sing and Recovering the Time - The World of Essences and the Original Time in Deleuze’s Reading of Proust -

CHUL HAK SA SANG - Journal of Philosophical Ideas 86 (86):161-195 (2022)
  Copy   BIBTEX

Abstract

〈시간을 잃어버린다〉는 것과 〈시간을 되찾는다〉는 것, 들뢰즈의 프루스트 읽기에서 이 두 가지의 것은 각각 〈시간을 지나가는 흐름으로서 체험한다〉는 것과 〈시간을 이러한 흐름에서 벗어나 있는 영원한 것으로서 재발견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들뢰즈에 따르면, 잃어버린 시간을 되찾는 것이 가능할 수 있게 되는 것은, 시간의 본래적인 모습이 실은 흘러 지나가 버리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제행무상(諸行無常)의 운명을 넘어서 있는 영원한 것이기 때문, 그리하여 이러한 영원성 속에서 항상 지금 여기에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들뢰즈는 우리가 시간의 이러한 본래적인 모습을 되찾을 수 있게 되는 것은, 프루스트가 보여 주듯이, 우리의 삶의 무대인 경험적 세계를 넘어서 있는, 그러면서도 이 경험적 세계에서 우리가 겪게 되는 모든 체험의 숨은 진리가 무엇인지를 밝혀내 줄 수 있는, 독립적인 실체로서의 〈본질들의 세계〉가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며, 또한 우리가 예술을 통해 이러한 〈본질들의 세계〉를 발견해 낼 수 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시간의 본래적인 모습이란 곧 이 〈본질들의 세계〉가 존재하는 시간형식이라는 것이다. 프루스트에 대한 들뢰즈의 이와 같은 독법은 여러모로 플라톤의 이데아의 세계를 떠올리게 만들며, 실로 들뢰즈는 프루스트에게 깃들어 있는 플라톤주의의 깊은 흔적에 대해 여러 차례 언급하기도 한다. 하지만 경험적 세계를 넘어서 있는 독립적인 실체로서 존재하는 것이라는 그 위상에 있어서의 유사성을 제외하고는, 들뢰즈가 프루스트를 통해 이야기하려 하는 〈본질들의 세계〉란 플라톤의 이데아의 세계와 거의 모든 중요한 점에 있어서 서로 전혀 다르다는 것이 드러나게 된다. 들뢰즈의 프루스트 읽기는 〈본질이란 무엇인가〉라는 철학의 오랜 문제에 대해, 플라톤주의 이래의 오래된 전통이 내어놓는 것과는 전혀 다른 대답을 하려 하고 있는 것이다. 이 글의 1부에서 우리는 〈시간을 잃어버린다는 것〉과 〈시간을 되찾는다는 것〉이 어떻게 해서 각각 우리가 제시하는 저와 같은 의미로 이해될 수 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그런 다음 2부에서는, 들뢰즈가 그리는 이 〈본질들의 세계〉가 어떤 내적 구조로 짜여져 있으며 또한 우리의 경험적 세계에 대해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들뢰즈가 본질에 대해 제시하려 하는 새로운 이해가 어떤 것인지를 살펴보려 한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4,045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Bergson’s mystic and Deleuze’s sorcerer. 조현수 - 2021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48:55-79.
Surprise and Wonder - A Milestone for an Awakened Living -. 문동규 - 2018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3:87-105.
Forgiveness as Something We do. 이선형 - 2019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38:75-96.
Mt. Jiri cheonghakdong - An ideological reality and a homecomming utopia -. 문동규 - 2016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5:235-255.
About Language Constitutes My World.이지중 ) - 2021 - Philosophical Practice and Counseling 11:99-120.
Wittgenstein and Mauthner’s Critique of Language. 박정식 - 2018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3:107-126.

Analytics

Added to PP
2023-01-06

Downloads
3 (#1,733,782)

6 months
1 (#1,723,047)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