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ject and Religion in Bergson’s The two Sources of Morality and Religion

The Catholic Philosophy 28:39-70 (2017)
  Copy   BIBTEX

Abstract

베르그손의 도덕과 종교의 두 원천은 우리에게 주체화에 관한매우 독특한 이론을 제시한다. 이에 따르면, 인간이 자신의 실존을장악하는 주체가 되는 것은 종교를 통해서이다. 지성적 동물인 인간은 인간의 존재가 무의미한 세계 표상을 통해 인간을 허무주의의 고뇌에 빠뜨린다. 주체화는 이러한 지성의 자기 해체적 위험에대한 방어적 반작용에서 시작된다. 그런데 베르그손은 두 종류의주체화, 즉 정태적 종교의 작화 본능에 따른 사회적 주체화와 역동적 종교의 신비주의적 직관에 따른 우주론적 주체화를 제시한다. 이 두 주체화 방식에 대한 검토로부터 우리는 주체와 종교의 관계에 관한 다음의 결론들에 이르게 된다. 1) 종교는 주체화의 필수적인 요소이다. 2) 하지만 두 가지 주체화 양태에 따라서 두 가지 종류의 종교가 있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3,745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A Study on Bergson"s Philosophy of Morality. 김정옥 - 2020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1:1-15.
The Second Synthesis and Two Forms of Repetition in Difference and Repetition. 변예은 - 2024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44:27-52.
John Duns Scotus on Intuitive Cognition. 김율 - 2023 - CHUL HAK SA SANG - Journal of Philosophical Ideas 87 (87):3-27.
A Comparative study on Wittgenstein‘s View on Religion and Freud’s. 하영미 - 2019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8:191-212.
『창조적 진화』의 두 원천.Suyoung Hwang - 2020 - Modern Philosophy 15:101-137.
An Inherent Critique of Vitalism: The Case of Bergson. 주재형 - 2022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39:79-108.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7

Downloads
2 (#1,450,151)

6 months
1 (#1,912,481)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