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ilosophical Counseling on Work Addiction

Philosophical Practice and Counseling 10:93-120 (2020)
  Copy   BIBTEX

Abstract

현대 사회에서 일중독 증세가 있는 사회 구성원들이 많아지고 있다. 이것은 성과주의라는 가치가 시대적인 삶의 흐름이 되어가고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인간이 자유롭고 독립적인 주체로 살아가는 데 일은 하나의 중요한 요소이지만, 지나치게 성과주의에 집착하여 일이 자신의 존재를 구속하게 된다면 인간은 자유로운 주체로 살아가기가 힘들 것이다. 마르틴 하이데거(M. Heidegger)는 그의 주저인 『존재와 시간』에서 인간 실존이 ‘비본래성’(Uneigentlichkeit)으로부터 ‘본래성’(Eigentlichkeit)을 찾을 방법을 제시한 바 있다. 누군가가 “무엇을 찾고 있다.”라는 것은 찾고 있는 대상을 잃어버렸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본래적 자기를 찾는다는 것은 본래의 자기를 잃어버렸음을 말한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일중독을 본래적 자기 존재를 스스로 상실한 채 살아가고 있는 현대인의 비본래적인 모습 중에 하나로 파악할 것이다. 또한 필자는 일중독 증세를 가진 내담자가 처해있는 세계를 분석하고, 철학상담을 통해 내담자가 스스로 본래적 자기를 찾아갈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3,031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About Language Constitutes My World.이지중 ) - 2021 - Philosophical Practice and Counseling 11:99-120.
Work Fatigue and Philosophical Counseling.박병준 ) - 2022 - Philosophical Practice and Counseling 12:5-31.
Sartre and the problem of solipsism. 이솔 - 2016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4:297-313.
Why Should Be Scientific Technique Democratic? 이재성 - 2016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5:321-347.
Heidegger’s Environment and Existential Anxiety. 박인정 - 2017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80:21-49.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7

Downloads
8 (#1,343,359)

6 months
4 (#863,447)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