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3
    Demonstration Problem of the Transcendental · Objective Final Grounding. 이재성 - 2017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9:247-272.
    특수주의, 상대주의, 회의주의 그리고 허무주의와 같은 이 시대적 징후들이 우리가 처한 철학적 문제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유일한 대안을 제공할 수 있다는 주장들이 도처에 만연해 있다. 그 결과 권력과 살인은 의미 있는 것이 되고, 최후 수단으로 주장될 수도 있다. 하지만 기근, 빈곤, 착취, 질병, 기아 등에 대한 대안이 무관심, 이기주의 그리고 냉소주의가 될 수 없는 것처럼, 폭력적이고, 잔혹하며, 파괴적인 행위에 대한 유일한 대안이 폭력, 파괴, 투쟁 그리고 전쟁이 아님을 우리가 원하고 희망해야 한다면 우리는 이런 행동과 행위 그리고 기준과 가치를 비판하고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4
    Systems Theory and Music - Luhmann’s Modification to Autonomous Aesthetics -. 이재성 - 2018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2:197-222.
    본 연구에서 필자는 음악학을 위해서 루만의 체계이론을 간략하게 살펴보려고 한다. 필자는 ‘음악학적인 관점에서 체계이론을 비판적으로 다루는 것’이 충분한 연구의 가치가 있다고 확신한다. 왜냐하면 체계이론이 음악미학적 문제제기와 음악사회학적 문제제기들을 넘어서 음악사를 기술하는데 있어서 발생하는 어려운 문제들을 새롭게 생각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준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글은 루만의 체계이론을 ‘음악학적’으로 다루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것은 체계이론의 개괄적인 토대를 해석한 후에야 비로소 가능하다.BR 필자는 우선 루만의 체계이론이 가지고 있는 일반적이고 본질적인 특징들을 이해하는데 논의의 초점을 둘 것이다(2). 그런 후에 예술사회학에 관한 루만의 과거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5
    The Final Grounding Problem and Hegel’s Concept of Reality. 이재성 - 2023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11:223-247.
    본 연구는 최종근거짓기 문제와 헤겔의 현실 개념이 도대체 어떻게 이해되고 있는지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필자는 현대 철학에서 눈부신 성과와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경험적인 개별 학문들도 근거짓기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경험적인 개별 학문도 객관적 · 이론적 타당성, 근거짓기의 문제가 필수불가결하기 때문이며, 특히 근거짓기의 문제와 내재적으로 관련된 학문의 경우 그 학문성을 추구하는 것은 불가피한 일이기 때문이다.BR 따라서 필자는 이 글에서 먼저 최종근거짓기 증명과 최종근거지어진 인식의 존재론적 타당성에 대한 테제를 검토하고(II), 이어서 최종근거짓기 증명의 존재론적 타당성을 논증한 후에(III), 헤겔 철학에서 논리적인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  5
    The Problem of Logical and Logic Concepts in Hegel"s Philosophy. 이재성 - 2022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7:159-183.
    본 연구는 헤겔 철학에서 ‘논리적인 것’과 ‘논리의 개념’이 도대체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지를 객관적 관념론의 관점에서 새롭게 재해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필자는 헤겔 철학에서 객관적 관념론으로 불리는 헤겔 철학의 기본적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며, 객관적 관념론을 참다운 학문으로 형성하는 데 있어서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논리학 또는 논리적인 방법의 기본적인 의도가 무엇인지를 자세히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BR 따라서 필자는 헤겔 철학에서 ‘논리적인 것’과 ‘논리의 개념’ 문제는 왜 지금 여기서 철학적 관심의 중심으로 부상하고 있는지, 그리고 객관적 관념론에 대한 헤겔의 서술이 도대체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5.  1
    Why Should Be Scientific Technique Democratic? 이재성 - 2016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5:321-347.
    근대의 절정인 인간중심주의적 세계관을 낳은 과학기술의 발전 앞에서 오늘날 인간은 절박한 삶의 형식의 위기상황을 대면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필자는 근대가 낳은 인간중심주의의 한계가 무엇인지를 짚으면서 그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과학기술을 근거짓기 위한 방법적 절차를 탐색하고자 한다. 인간의 삶의 형식을 새롭게 구성하는 새로운 과학기술의 단초를 제안하기 위해서 필자는 우선 고대에서 과학기술이 어떻게 이해되고 있는지를 고찰할 것이다(2). 그래야만 인간중심주의적 관점의 협소함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과학기술의 가능성을 제안할 수 있다. 이 새로운 과학기술은 인간중심주의를 비판하면서 인간중심적 세계관의 주요 관심을 협소화하는데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