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eedom for the Sake of the Good : Plotinus’ Concept of Freedom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18:25-51 (2017)
  Copy   BIBTEX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플로티누스 자유 개념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플로티누스가 자유(to eleutheron)를 개념화하기 위해 동원하는 두 용어, ‘자기결정적인 것’(to autexousion)과 ‘우리에게 달린 것’(to eph’hêmin)의 의미와 용법에 주목한다. 플로티누스에게 ‘자유’는 통념에 어긋나게도 대안들 가운데 아무 것이나 할 수 있는 권한이 아니라, 가장 좋은 것을 할 수 있는 능력으로 드러날 것이다. 우선, 우리는 플로티누스의 ‘역설적’ 자유 개념을 소크라테스적 전통 속에 위치시킬 것이다. 다음으로 결정론 비판의 맥락에서 플로티누스가 자유를 어떻게 주제화하는지를 아프로디시아스의 알렉산드로스의 접근법과 비교할 것이다. 알렉산드로스는 인과적으로 비결정적인 선택 능력을 도입함으로써 인간 행동에 대한 도덕적 책임의 심리적 근거를 확보하려고 시도한 데 비해, 플로티누스는 올바른 행동을 가능하게 하는 심리적 조건을 탐색하면서 최선을 원하고 택하는 능력으로서의 의지 개념을 확립하려고 노력했음을 보일 것이다. 이어서 플로티누스의 ‘자유로운 의지’가 달리 선택할 수 없다는 역설적 주장을 해명하기 위해 그의 신적인 자유 개념에 호소할 것이다. 이를 위해, 플로티누스가 이상적 자유를 최선을 할 수 있는 능력과 최선의 자기일 수 있는 능력에 귀속시킨다는 사실에 주목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플로티누스가 바라 본 인간적 자유의 한계와 가능성을 지적한 후, 그가 ‘순수한’ 자유를 지키기 위해 내면으로 은둔하는 대신, 내면의 자유를 외적으로 확산하는 능동적인 삶의 방식을 옹호했음을 주장할 것이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3,774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Plotinus' Concept of Hypostasis.송유레 ) - 2019 - philosophia medii aevi 25:5-41.
A Critique of Moral Judgments Dependent on Body - From the Perspective of Virtue Ethics -. 한곽희 - 2022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8:265-287.
The Affinity as Presupposition of Freedom. 이병탁 - 2019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88:93-118.
An Unthinking Sage? Plotinus’ Model of Non-Deliberative Action. 송유레 - 2019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25:63-89.
John. D Caputo’s phenomenology of (God of) Weakness. 윤동민 - 2022 - Phenomenology and Contemporary Philosoph 92:29-61.
Postdemos : Possibility of a New Political Subject. 박성진, 김현주, 윤비 & 김동일 - 2017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0:23-47.
Philosophical Criticisms on Greene’s Neuron-image Experiments.Gwak-hee Han - 2023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166:257-283.
The Conditions of Happy Life in Hegel’s Critique of ‘Stoicism’. 소병일 - 2016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29:75.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1

Downloads
3 (#1,213,485)

6 months
2 (#1,816,284)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