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iticism of Mozi’s Thought of Guo Moruo - Focusing on Counterarguments of Guo Moruo’s 『10 critical books』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100:55-84 (2022)
  Copy   BIBTEX

Abstract

이 글은 곽말약의 『십비판서』의 묵자 사상 인식에 문제가 있다고 본다. 즉 첫째로 묵자 사상이 왕권을 옹호하기 위한 이론이라는 것이며, 둘째로, 그의 사상이 사람을 중심으로 전개된 이론이 아니라, 왕공 대인들의 재산을 보존하기 위한 이론이라는 것이며, 셋째로, 묵자가 주장하는 절용론과 절장론이 왕의 이익을 위한 이론이라는 것이고, 넷째로, 묵가가 非樂을 주장하자 이는 궤변이며, 또 운명론을 비난하는 非命論을 왕권을 위한 수단이라는 것이다. 다섯째, 묵자의 정치론인 상현론과 상동론이 왕의 권력 강화를 위한 전체주의적 이론이라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곽말약의 묵자 사상에 대한 인식에는 문제가 있다고 보고, 이에 대한 반론을 제기하고자 한다. 필자는 위와 같은 곽말약의 다섯 가지 주장에 대해서 묵자 철학은 첫째 왕권을 옹호하는 이론이 아니며, 진정으로 민중의 삶을 이해하고 그들을 三患의 질곡에서 벗어나게끔 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이론이며, 둘째로, 재산 중심에 초점을 둔 이론이 아니라, 인간 즉 민중의 삶에 중심을 둔 이론이며, 셋째, 절용과 절장론이 왕의 이익을 위한 이론이 아니고, 민중이 삼환을 벗어나기 위해서 필요한 이론이며, 넷째로, 음 악을 무조건 배척하자는 이론이 아니라, 인민들의 노동력을 착취하는 지배층의 무분별을 비판한 것이며, 또한 비명론은 자기 노력을 통한 노동으로 삶을 주체적으로 개선해 나가자 는 주장이다. 마지막으로 묵자의 상동과 상현론은 민주민본적 성격이 짙은 이론이라는 점 을 밝히고자 한다. 필자는 춘추전국시대의 제자백가 중에서, 민중의 입장에서 민중에 의해서, 민중을 위한 철학 사상을 이론화하고 살신성인의 희생정신으로 이를 실천에 옮긴 사상가는 묵자 외에 는 없었다고 본다. 묵자의 사상이 유가와 더불어 200여 년간 민중의 공감을 얻어 지속 할 수 있었던 까닭도 묵자의 철학이 민중 철학이었기에 가능했다고 볼 수도 있겠다. 이런 점에서 곽말약의 묵자에 대한 비판적 인식은 중국 공산당 정권의 출발에 따른 해석이 아닌가 한다. 현시점에서 묵자의 중심사상인 겸애론과 비명 등 제 사상은 다시 조명을 받아야 하지 않을까 한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3,590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The Changes of Mohist School in Term of the Framework of "Book of Mozi". 손영식 - 2021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4:185-211.
The Feature and Modernistic Significance of Mohist's economic theory. 황성규 - 2011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32 (32):251-276.
Life for Art and Art for Life - On the Aesthetics of Simmel’s Philosophy of Life -. 김기성 - 2023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12:45-69.
A Study on the Discourse of Communication Based on Selflessness(anattan). 임승택 - 2022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101:313-337.
A Study on Ethical Practices for the Proper Use of Cognitive Enhancing Drugs. 김진경 - 2016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5:163-181.
Analyzing “Correct Naming(正名)” from the logic of Xun Zi. 김정희 - 2017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79:221-238.
Understanding of the Logic System of Communication of Moutza(墨子). 신요셉 - 2020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1:177-198.
Ethics of Public Health and Communitarianism in the Pandemic Era. 김진경 - 2021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6:103-121.
A Study on the Meaning of Aging and the Orientation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손희영 - 2021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4:213-234.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3 (#1,213,485)

6 months
2 (#1,816,284)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