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Reexamination of Mencian Theory of Human Nature - The relationship between biological desires and moral inclinations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57:1-40 (2023)
  Copy   BIBTEX

Abstract

맹자의 성선설에 대한 통상적인 관점은 맹자의 본성 개념에서 생물학적 욕구를 제외시키고 인간만이 가진 고유한 가치인 도덕적 경향성만을 본성으로 강조해왔다. 이 글은 이러한 통상적인 관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고자와의 논변을 중심으로 맹자의 성선설이 담고 있는 의미를 재고찰한다. 맹자의 성선설은 인간 본성에 선한 경향성이 있다는 것으로, 이러한 주장이 인간의 본성에 생물학적 욕구가 있다는 점과 상충되지 않는다. 한 걸음 더 나아가 맹자에서 성선은 생물학적 욕구로서의 본성과 대립 관계에 있기보다 서로 긴밀한 관련성을 가진 포함 관계로 이해할 수 있는데, 이는 비유컨대 ‘물과 기름’의 불연속적 관계보다 두 대상이 서로 밀접하게 결합될 수 있는 ‘물과 소금’의 관계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맹자의 본성 개념에서 도덕적 경향성과 생물학적 욕구를 대비시켜 이해하도록 하는데 중요한 기여를 한「고자 상」3장을 자세히 분석하면, 맹자와 고자의 인간 본성에 대한 이해가 도덕적 경향성의 측면에서는 달라지지만, 생물학적 욕구의 측면에서는 다르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맹자와 고자의 논변에 대한 면밀한 분석은 맹자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고대 중국의 인간 본성에 대한 논의를 포괄적으로 이해하는 데도 도움을 준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맹자의 본성론이 생물학적 욕구를 포함하더라도 성선악혼재설(性善惡混在說)과는 구별된다는 점을 밝히고, 마지막으로 맹자가 주요 변론의 대상으로 삼은 것은 성선악혼재설이 아닌 고자의 성무선무불선설(性無善無不善說)임을 밝힌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2,654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Human nature and biological nature in mencius.Irene Bloom - 1997 - Philosophy East and West 47 (1):21-32.
An Empirical Argument for Mencius’ Theory of Human Nature.Ilari Mäkelä - 2022 - Dao: A Journal of Comparative Philosophy 21 (2):235-259.
Mencius on becoming human.James Behuniak - 2002 - Dissertation, 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Mencius and the tradition of articulating human nature in terms of growth.Tao Liang - 2009 - Frontiers of Philosophy in China 4 (2):180-197.

Analytics

Added to PP
2023-12-13

Downloads
6 (#1,475,089)

6 months
6 (#566,625)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