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9
    Brief aus Südkorea.Ralf Beuthan - 2020 - Deutsche Zeitschrift für Philosophie 68 (2):289-303.
    The following contribution attempts to outline the current situation of philosophy in South Korea. The thesis is advocated that the current situation cannot be understood solely in terms of history of philosophy or research-historical contexts, but that the specifics of Korean philosophy in research and teaching can only be adequately explained against the background of far-reaching and partly global political and cultural-historical contexts. On the basis of a general sketch of the historical situation in South Korea as well as on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Export citation  
     
    Bookmark   1 citation  
  2.  5
    Der west-östliche Hegel.Ralf Beuthan - 2011 - In Wolfgang Welsch, Christian Tewes & Klaus Vieweg (eds.), Natur und Geist: über ihre evolutionäre Verhältnisbestimmung. Berlin: Akademie Verlag. pp. 299.
    Direct download  
     
    Export citation  
     
    Bookmark  
  3.  9
    Eine pragmatistische Rekonstruktion des Hegelschen Systems.Ralf Beuthan - 2006 - Deutsche Zeitschrift für Philosophie 54 (5):816-820.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  2
    “Ludic Amoralism”: Philosophical Reflections on a Key Problem in Gaming Ethics.Ralf Beuthan - 2021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46:191-219.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5.  7
    Medienphilosophie der zeit.Ralf Beuthan - 2005 - In Mike Sandbothe & Ludwig Nagl (eds.), Systematische Medienphilosophie. De Gruyter. pp. 21-36.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Export citation  
     
    Bookmark  
  6.  3
    Play as Specto-performative Action ‒ Philosophical Reflections on Playing Video Games ‒.Ralf Beuthan - 2022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51:189-221.
    비디오게임에 관한 논의는 비디오 게임의 영향(중독, 폭력), 혹은 비디오게임을 규정하는 규칙이 무엇인지의 질문에 국한 돼있다. 문제는 이에 따라, 놀이행위(gamic action) 그 자체에 대한 질문은 등한시되고 있다는 점이다.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비디오게임을 하는 것(playing video games)이 어떤 특정한 행위 유형에 속하는지에 대한 물음은 간과되고 있다. 본고의 철학적 반성은 이러한 연구의 맹점을 보완하는 것을 시도한다. 여기서 비디오게임을 하는 것이 특히 ‘수행성’(performativity)과 ‘시각성’(visuality)의 관점에서 더 명료하게 개념화해야한다고 주장될 것이다. 어느정도까지 놀이활동에 대한 철학적-개념적 규명이 특수한 난점을 갖고 있는지에 대한 간략한 역사적-체계적 논의 후에,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7. Real experience. For specificity of Hegel's phenomenological concept of experience.Ralf Beuthan - forthcoming - Hegel-Studien.
  8.  7
    Schiller meets “Grand Theft Auto”: Perspectives of Video Game Ethics.Ralf Beuthan - 2021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48:113-138.
    ‘비디오게임 하는 것’은 어떤 윤리적 모델을 통해 새로운 방식으로 게임행위를 평가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을 제기하도록 만들었다. 이러한 맥락 속에서 고전적인 윤리학적 모델 (덕 윤리, 의무론, 공리주의)은 궁극적으로 오직 ‘현실적 행위’에만 적용되고, 비디오 게임의 ‘가상적 행위’에 적용되지 않는다는 논증은 “놀이 무도덕주의” (Ostritsch 2018) 테제로 귀결된다. 이는 특히 노골적인 ‘폭력의 행위’의 경우의 게임 행위가 도덕적으로 판단될 수 있고 그래야만 한다는 공적 토론의 크게 우세한 직감(直感)에 의해 반박되어 왔다. 이러한 양자의 논의 속에 프리드리히 실러 (Friedrich Schiller)의 고전적 놀이 이론에 따른 중간적 입장이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