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11
    Emotion and Morality in Hume's Theory. 박종훈 - 2010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78):211-240.
  2.  22
    MacIntyre's Views on Emotivism and Their Problems -with special reference to -. 박종훈 - 2012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86):91-130.
  3.  17
    The Concept of Imagination in Hume and Kant. 박종훈 - 2009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74):163-191.
  4.  15
    The Significance of Emotion in Aristotle's Virtue Theory. 박종훈 - 2007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66):143-169.
    본 논문은 정서의 중요성을 인식한 아리스토텔레스의 덕론을 검토함으로써 오늘날의 도덕교육에서 정서가 강조되어야 함을 주장하려 하고 있다.아리스토텔레스는, 실천적 지혜의 작용의 한 단계인 실천적 추론이 직관적 지각의 내용을 표현하는 하나의 방식이라고 말했다. 아리스토텔레스에 있어서 실천적 지혜는 지적인 덕에 속하며 도덕적인 덕의 형성에 영향을 주는 것이다. 그러나 오늘날 이러한 직관적 지각은 대체로 일종의 정서로 간주되고 있다.그리고 아리스토텔레스는 정서가 도덕적 판단과 평가를 구체화한다고 생각했다. 그에게 있어서 선택은 의지적 영역으로서 욕구와 이성의 결합 즉 숙고적 욕구인 것이다. 이런 점에서 그는 정서에 대한 인지적 설명 즉 의도적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