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s Plato a Mind-Body Dualist?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24:1 (2015)
  Copy   BIBTEX

Abstract

플라톤이 심신이원론자라는 생각은 대중들 사이만이 아니라 학계에도 만연하고 있다. 그런데 그러한 생각의 바탕에는 물리주의가 아니면 심신이원론이라는 데카르트적 전제가 놓여 있는 것으로 보인다. 만약 물리주의와 심신이 원론을 대비시키는 논의 구도를 플라톤에게 적용시킬 수 없다면, 플라톤을 심신이원론자라고 부르는 것은 일종의 범주착오를 범하는 셈이 된다. 본 논문은 먼저 사람들이 플라톤을 심신이원론자라고 생각하는 몇 가지 이유를 살펴보고, 그 이유들이 충분하지 못함을 밝힌다. 그 다음에는 플라톤의 대화편들에 흩어져 있는 플라톤의 영혼관과 물질관을 살펴보고, 물리주의와 심신이원론을 대비시키는 현대의 논의 틀이 전제하는 물질관은 플라톤의 물질관과 양립할 수 없다는 것을 밝힌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3,745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The Democratic Implication of Philosopher Queens in Plato’s the Republic. 임정아 - 2020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2:569-586.
Can Artificial Intelligence be an Autonomous Moral Agent? 신상규 - 2017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32:265-292.
Plato’s Parrhesia - Frank Speech with Self-Control -. 강유선 - 2023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11:1-25.
The Real Problem of the Moral Twin Earth Argument. 전승태 - 2024 - CHUL HAK SA SANG - Journal of Philosophical Ideas 91 (91):147-180.
Consent as ‘the Political’ in Platonic Politics of Care. 박수인 - 2024 - CHUL HAK SA SANG - Journal of Philosophical Ideas 91 (91):3-39.
A Study on Aristotle’s ‘Pleasure’ - Focused on Aristotle’s Nicomachean Ethics. 이상일 - 2019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6:339-364.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8 (#517,646)

6 months
3 (#1,723,834)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