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emise and Validity of Proofs for the Existence of God in the Middle Ages

The Catholic Philosophy 32:101-138 (2019)
  Copy   BIBTEX

Abstract

중세 스콜라 학자들은 ‘신의 존재’에 대해 많은 증명과 그 증명에 대한 비판을 남겨 놓았다. 그렇지만 이런 증명들에 대한 논의가자연과학이 발달한 현대에도 과연 의미를 지닐 수 있을까? 본 연구에서는 가장 유명한 두 증명을 비교해 보았다.????신학대전????에 나오는 ‘다섯가지 길’을 통해 ‘경험론적 증명’의 대표자 토마스 아퀴나스는 가장 유명한 신존재 증명 중에 하나인 안셀무스의????프로슬로기온????에 기원을 둔 존재론적 증명을 비판했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소개한 후, 토마스의 안셀무스 비판이 과연 정당한가를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두 사상가들이 지녔던 상이한 전제들과 의도들이 무엇인가를 기술했다. 그런데 안셀무스의 증명은 그가 전제했던 플라톤적인 체계와 실재 관념을 받아들이지 않는 경험론자들에게는 아무런 설득력도 지니지 못할 것이다. 토마스 아퀴나스의 “다섯 가지 길”도 그곳에 포함되어 있는 아리스토텔레스적인 전제가의문시되는 곳에서는 그 설득력을 잃어버린다. 이처럼 신존재 증명에 대한 평가는 모두 평가자 자신의 형이상학적 입장에 따라 다르게 판단된다. 우리는 각자 자신이 가지고 있는 형이상학적이거나 신앙적인 전제에 따라 어떠한 종류의 신존재증명을 인정하거나일부 또는 일체의 신존재증명을 부정할 수도 있다. 그러나 다양한신존재증명은 다른 입장의 문제점을 드러나게 해 주고, 인간이 직접 전체적으로 포괄할 수 없는 신적인 실재에 대한 이해가능성을한 측면에서라도 높여 줄 수 있다. 신존재증명들간의 차이에 대한성찰은 우리 현대인의 사고틀도 경직되어 있지 않은가를 돌아보게해 준다. 개별적인 신존재 증명은 이를 접하는 각자가 지니고 있는전제에 기반해서 실존적인 결단을 도와줄 이성적인 성찰로서의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3,745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7

Downloads
7 (#603,698)

6 months
4 (#1,635,958)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