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orphological character of word(pada) in Aṣṭādhyāyī

The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42 (42):163-195 (2014)
  Copy   BIBTEX

Abstract

파니니 문법체계의 패러다임은 ‘의미의 전달’이라는 측면에서 단어(pada)를 문장의 최소단위로 간주하는 것이다. 접사(pratyaya)가 첨가되기 이전의 어형인 어기(語基, prakṛti)와 접사는 단어형성의 형태론적 요소가 되는데, 명사격어미(sUP)와 동사인칭어미(tiṄ)로 끝나는 것이라는 단어에 대한 기본정의는 이를 반영한 것이라 할 수 있다. 한편 A에서는 일부 특수한 접사들이 뒤따르는 어형들에도 단어라는 명칭을 부여하고 있다. 이는 형태론적으로 완성된 단어에 다시 접사가 첨가되어 단어가 된다는 자기 모순적인 정의로 비춰져 자칫 오해를 야기할 수 있다. 바로 여기서 단어의 구조에 시야를 돌릴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논문은 미시적 접근방식을 통해 술어(saṁjñā)로서의 단어의 구조를 고찰하고, 그 구성요소인 어기와 접사의 성격과 범위를 명확히 하려는 목적에서 작성된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단어를 규정하는 P. 1.4.14∼17의 규칙들과『카쉬카 브릿티』의 관련 주석들을 검토한다. 이를 바탕으로 단어의 형태론적 구조를, 구성요소들인 어기와 접사, 그리고 앙가(aṅga)라는 포괄적 술어에 대한 규명을 통해 살펴본다. 어기는 단어파생의 기본단위로서 여기에는 기본 동사어근과 파생동사어근 및 명사어근과 파생명사어간, 그리고 1차 접사, 2차 접사, 여성형접사가 포함된다. 파생의 기본단위로서의 접사에는 명사격어미와 동사인칭어미가 포함된다. 또한 앙가는 접사가 첨가되기 이전의 요소에 대한 통칭으로, 결국 모든 어기를 지칭하는 것이다. 파니니가 단어파생과 관련하여 동일한 문법조작을 가지는 요소들에 다른 명칭을 부여하는 것은 단어가 ‘어기와 접사’ 즉, ‘어간과 어미’로 구성된다는 큰 틀을 유지하면서 파생되도록 의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3,296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Emotion and Publicness. 이상형 - 2017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8:45-65.
A Study on Ethical Practices for the Proper Use of Cognitive Enhancing Drugs. 김진경 - 2016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5:163-181.
An Ontological Interpretation of “WE”. 이섭 - 2017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19:237-264.
The Theory of Disaster in the Qin and Han Dynasties. 임정기 - 2021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5:275-298.
A Study on the Shame of Mencius. 엄진성 - 2019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8:213-231.

Analytics

Added to PP
2023-02-28

Downloads
1 (#1,913,683)

6 months
1 (#1,516,603)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Sorry, there are not enough data points to plot this chart.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