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Apādāna-kāraka in the Aṣṭādhyāyī. 김현덕 - 2013 - The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39:5-34.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Clue to the character of samāsa ‘vāgarthāviva’ through yogavibhāga. 김현덕 - 2014 - The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41:139-160.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3
    The Aspect of Liṅga - Worship in Śaiva Purāṇa. 김현덕 - 2016 - The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47:155-185.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  1
    The Morphological character of word(pada) in Aṣṭādhyāyī. 김현덕 - 2014 - The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42 (42):163-195.
    파니니 문법체계의 패러다임은 ‘의미의 전달’이라는 측면에서 단어(pada)를 문장의 최소단위로 간주하는 것이다. 접사(pratyaya)가 첨가되기 이전의 어형인 어기(語基, prakṛti)와 접사는 단어형성의 형태론적 요소가 되는데, 명사격어미(sUP)와 동사인칭어미(tiṄ)로 끝나는 것이라는 단어에 대한 기본정의는 이를 반영한 것이라 할 수 있다. 한편 A에서는 일부 특수한 접사들이 뒤따르는 어형들에도 단어라는 명칭을 부여하고 있다. 이는 형태론적으로 완성된 단어에 다시 접사가 첨가되어 단어가 된다는 자기 모순적인 정의로 비춰져 자칫 오해를 야기할 수 있다. 바로 여기서 단어의 구조에 시야를 돌릴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논문은 미시적 접근방식을 통해 술어(saṁjñā)로서의 단어의 구조를 고찰하고,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