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wards a Bergsonian Theory of Individuation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44:143-175 (2020)
  Copy   BIBTEX

Abstract

이 연구는 베르그손의 『창조적 진화』로부터 새로운 개체화 이론을 구성해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우선 우리는『창조적 진화』 내에서 개체화의 문제가 생명체에서 발견되는 정교한 형태 구조의 해명과 관련 있음을 지적할 것이다. 그런데 베르그손은 이 형태 구조의 발생을 설명하기 위해 물질과 생명에 대한 과도하게 형이상학적인 개념화에 의존하는 한계를 보여준다. 하지만『창조적 진화』에는 이와는 다른 방식으로 생명체의 형태 발생을 설명하는 도식이 존재한다. 그것은 1장에 등장하는 쇳가루 더미를 가로지르는 보이지 않는 손의 이미지인데 우리는 이 이미지로부터 물질의 자기 부정으로서의 생명이라는 독특한 관념을 이끌어낼 것이다. 이 새로운 관념에 경험적 타당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우리는 베르그손을 떠나 세포 자살 이론과 대칭 깨짐 이론이라는 현대의 몇몇 과학 이론들을 검토할 것이다. 이러한 검토를 통해 우리는 베르그손의 개체화 이론이 최소 생명주의라는 하나의 명확한 철학적 기획으로 현재화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3,642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창조적 진화』의 두 원천.Suyoung Hwang - 2020 - Modern Philosophy 15:101-137.
An Inherent Critique of Vitalism: The Case of Bergson. 주재형 - 2022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39:79-108.
Bergson’s Conception of Duration Revisited. 주재형 - 2021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49:113-142.
On Bergson’s Method of Intuition. 주재형 - 2022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37:31-62.
Bergson’s mystic and Deleuze’s sorcerer. 조현수 - 2021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48:55-79.
Foucault and Canguilhem - Science, Life and Subject -. 주재형 - 2018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34:117-147.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5 (#847,061)

6 months
1 (#1,912,481)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