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ggestions for Globalization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SCM)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43:111-138 (2020)
  Copy   BIBTEX

Abstract

사상의학(四象醫學,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은 동무 이제마(1937∼1900)가 창안한 것으로, 사상철학(四象哲學, Four Quadrants Philosophy)을 바탕으로 성립된, 사상(史上) 유래 없는 독특한 특징을 보이는 의학이다. 동무가 ‘사상한(四象限)’이라는 발상을 정확히 언제 떠올렸는지 문헌상에 나타나는 기록으로는 확인되지 않는다. 동무의 대표적인 저작으로는 『격치고(格致藁)』(1880∼1893)와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1894)이 있는데, 『격치고』 첫 내용부터 ‘사상한’ 도식이 나오는 것을 보면, 초기 발상은 『격치고』 찬술(撰述) 이전이었을 것이다.BR이미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세계적인 철학자이자 통합 심리학자인 켄 윌버(Ken Wilber, 1949∼)의 학문적 내용을 전체적으로 언급하는 개념은 “사상한(四象限, AQAL(All Quadrant, All Level))”이다. 윌버는 이 ‘AQAL’을 자신이 만들어낸 새로운 창안이라고 주장한다. 그의 말대로 근(近) 20년의 오랜 숙고기간(윌버 모델 1기(1977∼1979)∼4기(1995∼2001))을 통해 나온 발상이다.BR하지만, 동무의 『격치고』(1880∼1893)에 나타나는 사상한 모델은 윌버의 것과 동일한 것이다. 그래서 동무 의학의 특징이 한마디로 ‘사상(四象)’으로 표징(表徵)되기에, 후대 학자들에 의하여 공식적으로 “사상의학(四象醫學)”으로 불린다. 윌버의 “AQAL(All Quadrant, All Level)” 또한 마찬가지다. ‘AQAL’의 구체적인 의미는 ‘온상한(All Quadrant)’, ‘온수준(All Level)’이지만, ‘AQAL’ 모형의 가장 큰 특징이 ‘네 상한’이기에 ‘사상한(四象限)’으로 번역한다. 이와 같이 동무의 의학과 윌버의 AQAL을 모두 ‘사상(四象)’이라고 명명하는 것은 우연의 일치가 아니라, 기의(記意)가 같기 때문이다.BR그런데 현재 사상의학의 영문 표기는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SCM, 四象體質醫學)”으로 통용되고 있다. 이로써 국내외적으로 동무의 ‘사상의학(四象醫學)’이 윌버 ‘사상한(四象限, AQAL)’의 전범(典範)이 된다는 사실이 간과되고 있다.BR이에 본 논문에서는 동무의 사상의학과 윌버의 사상한의 기의(記意, signifié)와 기표(記標, signifiant)를 검토하고 그 대안을 제시하는 데서 인식 전환의 출발점을 찾는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3,779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Aspects of the Use of Wisdom and Brightness in the Four Books. 임종진 - 2022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9:387-409.
Ben se Zhou yi.Mingyu Yang - 2008 - Hefei Shi: Anhui da xue chu ban she.
象山學의 學問的 淵源과 心卽理에 관한 硏究. 염호택 - 2009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53 (53):423-445.
The concept of Dào as the basic axiom of Zhōuyì and Tàijà, Liăng-yì, Sixiàng and Bāguà. 정석현 - 2016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6:399-427.
The Aesthetic Significance of ‘Qiyun (氣韻)’ and ‘Xiang (象)’ in Bifaji. 강여울 - 2019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86:25-45.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5 (#1,558,750)

6 months
3 (#1,206,053)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