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logical Thinking and Practice in the Aesthetic of William Morris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7:153-168 (2019)
  Copy   BIBTEX

Abstract

모리스의 생태적 사유의 출발은 19세기 사회적 상황과 관련 있다. 그의 사유는 당시의 산업혁명의 결과로 나타난 사회적 부조리에 기초한다. 삶의 환경이 악화되고 공장에서 대량 생산되는 생산품은 규격화되고 형편없는 품질의 제품들이었다. 따라서 그는 기계로 생산되는 제품을 부정하고 인간의 솜씨를 통한 창의적인 제작과정으로 생산되는 제품이 아름답다고 주장한다. 이것은 그가 주목했던 도시의 미관과 도시 생활자들의 열악한 생활환경에 대한 우려와 관심에서 비롯되었다. 보건위생의 악화는 도시화의 결과였고 이것은 산업혁명에 의한 산업화의 부작용이기도 했다. 도시화에 따른 보건 위생, 생태적 위기, 근대 건축물의 등장은 모리스로 하여금 자본주의 체계가 야기한 생태 문제들을 정확하게 깨닫도록 하였다.BR 모리스의 생태적 사유는 사회의 미적 질을 개선하기 위해 사람들에게 사고의 전환을 요청한다. 그의 이러한 생각은 러스킨(John Ruskin)의 자본주의 문명에 대한 비판과 크로포트킨(Pyotr A. Kropotkin)의 공산주의 이념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이다. 그는 동시대의 사상가들로부터 자신의 이론을 구축하는 바탕을 마련하였고 예술로 사회의 변화가 가능하다는 자신의 신념과 생태적 사유를 결합한다. 이 신념은 미적 가치를 개선하고 미적인 삶의 회복을 지향한다. 모리스는 생태 위기 극복을 위한 인문학적 접근에서 생태와 환경 철학적, 미학적 가치를 규명하는데 노력했다. 나아가 자연과 공존하는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실천 활동도 함께 했다. 그의 대표적인 활동은 런던의 에핑(Epping) 숲의 벌목을 막아내고 숲을 온전한 모습으로 보존하였던 일이다. 이처럼 모리스는 자연보호 정책에 있어서도 통찰력 있는 중요한 인물로 평가되고 있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3,867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The concept of labor and leisure in the aesthetic of William Morris. 서희주 - 2018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3:185-201.
Management Philosophy of Morris & Co. and Commercialization of Art. 서희주 - 2017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9:117-133.
Women"s Labor in William Morris"s Aesthetics. 서희주 - 2020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1:43-58.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3 (#1,731,220)

6 months
2 (#1,445,852)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