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9
    Gwangneung Forest from an Ecological Aesthetic Perspective: To Be Reborn as a Space for Special Forest Experiences. 최준호 - 2023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43:83-108.
    본 논문의 목적은 광릉숲이 대중들의 생태미학적 숲체험 공간으로 거듭나야 한다는 사실을 밝히고, 이를 위해서 필요한 것이 무엇인가를 논구하는 것이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뵈메에 의해 주창된 생태적 자연미학의 관점에서 볼 때, 대중들이 일상에서 몸으로 감지하는 것과 동떨어진 숲은 소외된 숲이라 할 수 있다. 광릉숲이 그 위상에 걸맞은 숲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대중들이 몸으로 감지하는 것과 동떨어져 있는 이른바 태고의 숲으로 머무는 데서 벗어나야 하며, 동시에 에너지를 충전하는 휴식의 공간으로 그치는 데에서도 벗어나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아무리 객관적으로 높은 가치를 지닌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3
    An Eco-aesthetical View of the Forest : Opening the Horizon of “Ecological Life Traversing the Human/Nature Dichotomy”. 최준호 - 2023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168:267-294.
    숲에 관한 관심이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이는 ‘생태적 삶의 추구’가 일종의 시대정신이 된 상황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현상이 명실상부한 생태적 삶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본고는 이를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더 나아가 숲에 관한 생태학적 인식과 실제 삶이 괴리되지 않도록 하는 데 일조하려는 시도의 일환이다.BR 이를 위해서 논자는 ‘뵈메(G. Böhme)가 말하는 생태적 자연미학’의 관점에서 숲을 조망하고자 한다. 뵈메가 강조하는 영국식 정원과 조경술은 숲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와 보통 사람들이 일상에서 접하는 숲 체험이 괴리되지 않고 조화를 이루는 데로 나아가는 실마리를 제공한다.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6
    Aesthetic Significances of the Professional Football Game from Böhme’s Point of View : Transition from an Object of Fulfillment of Needs to an Object of Perception of Atmospheres. 최준호 - 2022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164:337-370.
    뵈메의 시각으로 서포터즈의 퍼포먼스에 주목해서 프로 축구경기의 미학적 의미를 고찰하고, 이를 통해서 축구 미학은 물론 더 나아가서 스포츠 미학을 새로운 관점에서 접근하는 길을 환기시키는 것이 논문의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에 상응하는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분위기’ 및 ‘분위기 머금은 현상’ 개념을 중심으로 뵈메의 ‘지각학으로서의 미학’의 핵심이 검토된다. 이는 축구경기의 미학적 의미를 전통미학의 틀에서 벗어나서 논구할 수 있는 기초를 다지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축구경기에서 만들어지는 분위기, 즉 축구경기의 특정 상황에서 형성되는 경기장 전체의 분위기가 ‘극적인 골’ 사건에 초점을 맞춰 검토된 뒤, 그것이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