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leuze and the Foundation of the Metaphysics

Phenomenology and Contemporary Philosoph 75:39-68 (2017)
  Copy   BIBTEX

Abstract

이 논문이 다루고자 하는 문제는 다음과 같다: 들뢰즈의 형이상학은 바디우가 말한 대로 어떠한 인식론적 정당화 없는 전칸트적 형이상학으로의 회귀인가? 우리는 이러한 평가에 맞서 들뢰즈의 형이상학은 오히려 매우 독특한 종류의 정당화에 기초하는 칸트 이후의 형이상학임을 보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우리는 스피노자와 칸트에 대한 들뢰즈의 주석적 텍스트들과 그의 초기 주저 『차이와 반복』을 분석하여 들뢰즈의 사유에 특유한 형이상학의 정당화 논리를 밝히고, 그 다음으로 이를 철학의 자기 정당화와 궁극 토대 문제를 다룬 다른 현대 철학자들(회슬레, 토마포지엘, 메이야수)과 비교함으로써 들뢰즈 형이상학의 특징을 평가해보고자 한다. 이에 따르면 들뢰즈의 사유는 칸트 이후의 새로운 경험적 형이상학으로 드러날 것이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3,745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The Dream of Metacinema: Deleuze, Bergson and Image. 주재형 - 2021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35:31-57.
A Study on the Problem of the Individuation at Gilles Deleuze. 신지영 - 2016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74:75-101.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1

Downloads
5 (#847,061)

6 months
2 (#1,816,284)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