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Humans Are Moral by Nature - Focusing on Kant’s Radical Evil and Freedom of Willkür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9:121-140 (2022)
  Copy   BIBTEX

Abstract

악의 보편성과 선택의지의 자유라는 양립 불가능한 개념을 동시에 담고 있는 칸트의 근본악 논증은 발간 당시부터 이러한 모순성을 포함하여 다양한 측면에서 비판의 대상이 되어 왔다. 심지어는 일종의 학문적 실패로 취급됐다. 하지만 연구자는 칸트가 악 이론과 관련해서 두 가지 개념을 모두 가져올 수밖에 없었다고 생각하며, 본 논문에서 두 개념이 양립 가능하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본 작업을 위해 연구자는 먼저 칸트가 근본악 논증에서 밝히고자 하는 진정한 목적이 무엇인지 확인하는 데 지면을 할애할 것이다. 짤막하게 그 목적을 밝힌다면 칸트는 현대적 시각에서 봤을 때 외적으로 악한 행위나 그러한 행위자에게는 무관심하다. 연구자는 칸트가 겉으로는 선한 것처럼 보이는 행위의 이면을 분석함으로써 도덕적으로 선한 행위를 엄격하게 구분하는 데 집중했다고 본다. 칸트에 따르면 이 교묘한 악, 즉 외면적으로만 선하고 의도 면에서는 악한 행위야말로 모든 인간이 피해 갈 수 없는 근본적인 악성인 것이다. 교묘한 악성을 파헤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칸트의 근본악 이론은 결과적으로 이러한 악한 성향을 모든 인간이 자유롭게 선택했다고 주장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자유로운 악성을 끌어안고 고민하거나 투쟁하며 살아간다는 측면에서 ‘도덕적’이라고 결론지을 것이다. 이 주장은 모든 인간이 도덕적으로 선하다는 게 아니라 도덕에서 벗어날 수 없음을, 모든 행위마다 도덕성을 고민할 수밖에 없음을 함의한다. 본 논문은 이 주장이 어떻게 가능한지 밝히는 데 집중한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3,590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The Affinity as Presupposition of Freedom. 이병탁 - 2019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88:93-118.
Kant’s Prophecy of Moral History in the Second Part of the Conflict of the Faculties. 박경남 - 2023 - CHUL HAK SA SANG - Journal of Philosophical Ideas 87 (87):29-64.
Freedom for the Sake of the Good : Plotinus’ Concept of Freedom. 송유레 - 2017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18:25-51.
Dialectic of Enlightenment as Genealogical Critique. 정진범 - 2019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41:145-175.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2 (#1,450,151)

6 months
1 (#1,912,481)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