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ults for 'Coporeality'

Order:
  1.  4
    Husserl’s Educational Theory of Life-Word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Concept of Coporeality, Empathy and Freedom-. 박인철 - 2019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41:115-143.
    후설의 생활세계 개념은 다양한 맥락에서 해석될 수 있으나 교육학적인 관점에서의 해석 또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생활세계는 일상적 세계로서 우리에게 경험을 통해 직접적으로 주어지는 세계이지만 한편으로 문명화된 현대인에게는 객관주의적인 과학적 세계관에 의해 은폐되고 왜곡된 채 주어진다는 것이 후설의 설명이다. 따라서 있는 그대로의 생활세계에 접근하고 이를 바라본다는 것 자체가 일종의 태도의 변화이자 인간됨의 변화를 함축한다. 그러므로 생활세계의 주제화는 인간성의 변화 내지 일깨움을 지향하는 교육학적인 함의를 지닌다. 생활세계가 주관 연관적이고 주관성과 불가분리의 상관관계를 맺고 있다는 점에서 생활세계 교육론은 주관성의 영역별 특징에 상응해, 크게 신체적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69
    Not a Body: the Catalyst of St. Augustine’s Intellectual Conversion in the Books of the Platonists.Kyle S. Hodge - 2023 - International Journal for Philosophy of Religion 93 (1):51-72.
    In his Confessions, Augustine says that he achieved great intellectual insight from what he cryptically calls the “books of the Platonists.” Prior to reading these books, he was a corporealist and was unable to conceive of incorporeal beings. Because of the insurmountable philosophical problems corporealism caused for the Christian belief he was seeking, Augustine claims that this was the greatest intellectual barrier he faced in converting to Christianity. As such, the specific contents and effects of these Platonist books are of (...)
    Direct download (4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