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2
    Controversial Issues between an Indian Buddhist Monk and a Chan Master Mahāyāna at the End of the Eighth Century. 차상엽 - 2022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163:227-250.
    본고에서는 8세기 말 인도 불교도와 중국 禪불교도 사이에 필담으로 벌어진 논쟁의 1차 자료인 돈황 출토 한문 사본 『頓悟大乘正理決』과 이 문헌과 연관성이 있는 티벳어 사본 PT21을 중심으로 이 논쟁과 관련한 쟁점 사항을 검토하고자 한다.BR 먼저 이 논쟁을 인도 불교도의 ‘단계적/점진적 명상 수행[漸修]’의 가르침과 중국 화상 마하연으로 대변되는 중국 선불교도의 ‘단박에 깨달음[頓悟]’이라는 가르침, 즉 ‘점수’와 ‘돈오’의 대결로만 한정해서 살펴볼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인도 바라문승의 가르침은 다섯 가지바라밀을 쌓음과 동시에 다르마(dharma, 法)가 고유한 성질이 없음[無自性]을 통찰하는 반야바라밀을 반복적으로 완전히 닦은 후에 깨달음에 들어갈 수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4
    폴 외젠느 펠리오가 둔황에서 출토한 티벳어 사본 Pt 1과 Pt 116에 대하여. 차상엽 - 2019 - Philosophical Investigation 54 (null):101-130.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1
    rNgog Blo ldan shes rab’s Understanding of the Anuśleṣa between Each Topic of the Seven Vajrapadas. 차상엽 - 2017 - The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49:85-120.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