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6
    The New Understanding of Li理 in Neo-Confucianism - Focused on Recent Western Studies -. 조성환 & 이우진 - 2023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105:281-304.
    주자학의 리 개념은 이해하기가 쉽지 않다. 그 때문에 지금까지 다양한 번역어가 제시 되어 왔다. 한국학계에서는 보통 ‘이치’로, 서양학계에서는 ‘질서’나 ‘패턴’ 등으로 번역되었 다. 이에 대해 윌러드 피터슨은 1986년에 쓴 「리에 대한 새로운 시각」에서 ‘coherence’라 는 번역어를 제시하였다. 그 후, 피터 볼, 스테판 앵글, 브룩 지포린 등이 피터슨의 번역어 를 채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들의 견해를 지지하면서, ‘coherence’의 한글 번역어로 ‘어우러짐’을 사용하였다. 이들의 견해를 참고하면, 주자학에서의 리는 ‘사물이 가치 있는 방식으로 어우러져 있 는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가령 의자는 인간이 앉을 수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1
    From Hanalnim to Hanulnim - Changes in the name of Heaven in Donghak and Chondogyo -. 조성환 & 이우진 - 2022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100:85-106.
    1860년 최제우에 의한 ‘동학’의 탄생에서 1905년 손병희에 의한 ‘천도교’로의 전환이 지니는 사상사적 의미는 여러 측면에서 고찰할 수 있다. 그 가운데 하나는 궁극적 존재를 지칭하는 천명(天名)의 개칭을 지목되고 있다. 즉 ‘님’에서 ‘한울님’으로 최고 존재를 지칭하는 한글 명칭의 변화이다. 그러나 이 변화는 천도교의 탄생과 함께 시작된 것이 아 니었다. 이후의 천도교 사상가들에 의한 것이었다. 천도교의 천명에 처음으로 변화가 나타난 시기는 1911년 6월이다. 이때 『천도교회월보』에 실린 이종일과 오지영의 글에 ‘한을’과 ‘한을님’의 용례가 처음으로 등장한다. 그 이 후로 이 ‘한을’과 ‘한을님’의 표기가 정착되었다. 이것이 천도교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3
    The study on Wang Yangming’s Okyunguksul. 이우진 - 2016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86 (86):161-196.
    이 논문은 왕양명의 『오경억설』에 대한 탐구이다. 『오경억설』은 자신의 용장오도(龍場悟道)를 유가의 경전과 연결시킨 저술이다. 왕양명은 1년 7개월에 걸쳐 46권의 『오경억설』을 작성하였지만, 현재 ‘왕양명의 서문’과 ‘12조목’만이 남아있을 뿐이다. 그 이유는 아이러니하게도 왕양명 본인이 불태워버렸기 때문이었다. 당시 유자들은 경전의 문구에만 지리(支離)하게 매달릴 뿐 그 본의를 상실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오경억설』을 제자들에게 남겨두는 것은 어쩌면 또 다른 ‘통발과 술지게미’를 양산하는 일이 될지 모른다고 우려했던 것이다. 왕양명에게 경전은 ‘내 마음의 실상’을 그려낸 것이었다. 경전에는 ‘성인됨의 진리[聖人之學]’가 담겨있는데, 이는 ‘자체충족적인 마음의 본체[心體]와 그 마음에서 하는 공부[心學]’이다. 왕양명은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  4
    The Yangming studies as Healing studies. 이우진 - 2013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75:71-112.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5.  3
    Wang Yangming’s Sim jeuk ri[心卽理] and Its educational implication. 이우진 - 2016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80 (80):119-146.
    이 글은 왕양명(王陽明)의 심즉리(心卽理)가 근본적으로 도덕교육적인 주장이며, 더불어 그 주장이 어떠한 도덕교육적 입장인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익히 알려져 있듯이 왕양명의 심즉리는 주자학에 대한 반발로 이루어진 제창이다. 그렇다면 과연 주자학의 도덕교육적 사유에 어떠한 불만이 있었는가를 추적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왕양명이 ‘심즉리를 제창하게 된 이유와 그 의미’를 검토하고, 다음으로 ‘심즉리의 확장적 표현들인 심외무리(心外無理)․심외무사(心外無事)․심외무물(心外無物)․심외무학(心外無學)’을 추적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심즉리가 지니는 도덕교육적 의미에 대해 간략히 논의하여 보았다. 왕양명이 심즉리를 제창한 이유는 ‘지선(至善)의 소재(所在)는 도덕적 행위자의 외부에서 구할 것이 아니라, 도덕적 행위자 그 내면[心]에 미리부터 주어져 있다’는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