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1
    Criticism of Materialistic Competition and the Meaning of Nietzscheian Competition. 김세욱 - 2022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10:19-42.
    물질주의는 물질적인 부를 획득하는 삶만이 유일하게 가치있고 행복한 삶이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부를 획득할 수 있기 위해서는 그만한 능력을 보유해야 하는데 이 능력을 검증하기 위해 끊임없이 경쟁해야만 한다. 그러나 니체의 관점에서 삶을 가치있게 만들어주는 ‘부’는 서양의 전통 철학의 형이상학적 가치 기준과 마찬가지로 허구적 가치일 뿐이기에 삶의 절대적인 기준일 수 없다. 이런 허구적 가치를 추구하도록 만드는 경쟁은 오히려 삶을 부정하는 결과를 낳는다. 결과적으로 물질주의적 경쟁을 통해서는 행복이라는 목표를 달성할 수 없기에 더 나은 삶을 살아가기 위해 이를 극복할 필요가 있다.BR 물질주의적 경쟁은 사회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6
    Humanistic Exploration of Metaverse Technology. 김세욱 - 2023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12:93-113.
    본 논문의 목적은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메타버스 기술이 인간의 삶에 어떤 유용성이 있을지를 인문학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우려할 만한 점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자 하는 것이다. 오늘날 메타버스라는 새로운 기술 영역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실제로 몇몇 대형 글로벌 IT기업들은 메타버스 기술의 선점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이유로 메타버스 관련 플랫폼을 개발하면서 동시에 관련 기술들을 연구하는 신진 기업들을 사들이고 있다. 그러나 정작 메타버스에 대한 명확한 규정이나 설명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을 뿐 아니라, 메타버스 기술의 효용성, 즉 이 기술이 어떤 방식으로 우리의 삶에 기여를 하는가에 대한 판단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5
    Study on Overcoming Moral Hazard through Nietzsche’s Master Morality. 김세욱 - 2021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4:59-86.
    본 논문의 목적은 사회적 문제 중 하나인 ‘도덕적 해이(moral hazard)’의 문제를 니체의 철학을 통해서 극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사전적 의미에서, 도덕적 해이란 자신에게 주어진 비대칭적인 정보를 이용하여 정보를 가지지 못한 측의 이익에 반하는 행동을 취하는 것, 즉 자신에게 주어진 역할에 최선의 의무를 도외시하거나 책임을 지지 않으려는 행위를 의미한다. 도덕적 해이가 윤리적으로 문제가 되는 이유는 관계 맺는 사람들 사이에서 이뤄지고 있는 약속을 통해서 서로에게 기대하고 있던 신뢰를 저버리고 있기 때문이다. 약속을 통한 신뢰는 곧 책임감의 문제이다. 결국 도덕적 해이는 힘의 차이와 무관하게 약속에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