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Apādāna-kāraka in the Aṣṭādhyāyī. 김현덕 - 2013 - The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39 (39):5-34.
    카라카(kāraka)는 문장에서 동사와 연결되어 동사의 의미를 완성시키도록 돕는 것이다. 파니니(Pāṇini)는 이 개념에 대해 정의내리고 있지는 않지만, 자신의 文典(Aṣṭādhyāyī)의 P. 1.4.23에서 ‘처격으로 표시된 의미조건’으로서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이하 P. 1.4.55에 이르기까지, 범어 구문론의 중추를 이루는 이 개념을 행위 주체를 의미하는 kartṛ, 행위의 목적(대상)을 나타내는 karma, 행위 성취의 수단을 나타내는 karaṇa, 증여를 표시하는 saṁpradāna, 분리를 나타내는 apādāna, 행위발생 장소인 adhikaraṇa라는 6개 항목으로 분류하여 다루고 있다. 그중 파니니가 가장 먼저 규정하고 있는 것은 ‘제5격 어미’를 취하여, ‘탈격’이라고도 불리는 아파다나 카라카(apādāna-kāraka)로, P. 1.4.24-31에서 취급되고 있다.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Clue to the character of samāsa ‘vāgarthāviva’ through yogavibhāga. 김현덕 - 2014 - The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41 (41):139-160.
    시인 칼리다사가 저술한 미문체(美文體) 서사시『라구방샤』는 ‘vāgarthāviva’라는 구절로 시작된다. 인도 문법 전통에서는 이 표현을 하나의 단어로 인정한다. 이는 다시 말하자면, ‘vāgarthāviva’라는 표현이 복합어로 간주된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하지만 이 표현은 문법가 파니니가 규정한 4종의 복합어 범주, 즉 불변화 복합어, 한정 복합어, 소유 복합어, 병렬 복합어로는 설명되지 않는다. 후대의 문법가들은 이와 같은 특수한 복합어를 케발라 사마사(kevalasamāsa) 혹은 supsamāsa로 분류하며, ‘규칙분할’이라는 문법 조작을 통해 그 형성과정을 설명한다. 파니니 이후의 문법가들이 ‘규칙분할’과 같은 수단을 사용하는 이유는, 우선 베다를 비롯한 고전 영역에서 발견되는 모든 복합어들이 파니니의 규정만으로는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3
    The Aspect of Liṅga - Worship in Śaiva Purāṇa. 김현덕 - 2016 - The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47:155-185.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  1
    The Morphological character of word(pada) in Aṣṭādhyāyī. 김현덕 - 2014 - The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42 (42):163-195.
    파니니 문법체계의 패러다임은 ‘의미의 전달’이라는 측면에서 단어(pada)를 문장의 최소단위로 간주하는 것이다. 접사(pratyaya)가 첨가되기 이전의 어형인 어기(語基, prakṛti)와 접사는 단어형성의 형태론적 요소가 되는데, 명사격어미(sUP)와 동사인칭어미(tiṄ)로 끝나는 것이라는 단어에 대한 기본정의는 이를 반영한 것이라 할 수 있다. 한편 A에서는 일부 특수한 접사들이 뒤따르는 어형들에도 단어라는 명칭을 부여하고 있다. 이는 형태론적으로 완성된 단어에 다시 접사가 첨가되어 단어가 된다는 자기 모순적인 정의로 비춰져 자칫 오해를 야기할 수 있다. 바로 여기서 단어의 구조에 시야를 돌릴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논문은 미시적 접근방식을 통해 술어(saṁjñā)로서의 단어의 구조를 고찰하고,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