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rld-disclosure and Reason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29:127 (2016)
  Copy   BIBTEX

Abstract

하이데거는 기초존재론에서 존재자가 그것인 바로서 발견되기 위해서는 세계가 그에 앞서 개시되어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 세계개시 우위라는 하이데거의 해석학적 논제는 하버마스의 의사소통행위 이론에서 수용된다. 의사소통행위의 주체가 화자와 청자로서 서로 간의 발언의 의미를 이해하고 그 타당성을 비판하거나 수용하면서 합의를 추구할 수 있기 위해서는 사전에 세계개시를 공유해야만 한다. 그러나 하버마스는 하이데거가 세계개시의 인식적 역할을 절대화함으로써 합리적 학습과정의 역할을 제거한다고 비판한다. 대신에 그는 세계개시와 합리적 학습과정 간의 교호적 관계를 설정함으로써 하이데거의 세계개시 개념을 수정하고자 한다. 본고는 그러한 교호적 관계가 기초존재론의 근본구도와 모순되지 않음을 보임으로써 하버마스의 비판이 과장되었음을 보여주고 세계개시의 혁신적 개선을 위해서는 절차적 합리성으로 환원되지 않는 이성의 새로운 의미를 발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3,745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Heidegger’s Environment and Existential Anxiety. 박인정 - 2017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80:21-49.
A Study on Nietzsche’s Ontology and Heidegger's - Focusing on Nihilism. 김경배 - 2017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81:53-80.
How can We Live in the Common World?: Individual and Common World-disclosure. 설민 - 2017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16:79-103.
A Study on Gefüge of Heidegger. 김재현 - 2017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9:59-78.
An Ontological Interpretation of “WE”. 이섭 - 2017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19:237-264.
Hegel’s concept of reason as the completion of traditional reason. 정대성 - 2020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44:121-142.
Heidegger’s Interpretation of Idea in his 1931-32 Lecture Course. 설민 - 2020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44:177-202.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2 (#1,450,151)

6 months
2 (#1,816,284)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