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al Character of Proper Names - A Criticism of the Genetic Theory and the Individualistic Theory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44:229-268 (2020)
  Copy   BIBTEX

Abstract

박재연은 고유명을 다른 종류의 어휘들과 구별해주는 변별적 속성이 그 발생적 조건에 있다고 주장한다. 박재연에 따르면 고유명이 한 자연언어에 속하는 표현이 되기 위해서는 사회적 공인이 필요하지 않다. 이러한 주장은 고유명이 사회적 성격을 갖는다는 언어 철학계의 주류 입장과 충돌하는 것으로 보인다. 만일 박재연의 이론이 성공적이라면 이는 고유명의 사회성에 대한 주류 입장을 수정해야 함을 보여주는 중요한 기여가 될 것이다. 그러나 나는 실제로는 그렇지 못하다는 것을 논증할 것이다. 최성호는 주류 입장을 바탕으로 박재연의 이러한 주장을 공격한다. 이러한 비판은 고유명이 공적 언어 표현이며 그 유의미성은 공적인 규칙에 바탕을 두고 있다는 전제를 바탕으로 작동한다. 그러나 맥킨지는 이러한 고유명의 사회성에 대한 전제를 명시적으로 부정하면서 고유명의 지시체 결정이 개별 화자의 지시체 식별 능력에 기초하고 있다는 개인주의 이론을 제기한다. 맥킨지에 의하면 고유명은 애당초 공적인 자연언어의 일부가 아니다. 박재연의 이론과는 달리 개인주의 이론은 최성호의 비판을 회피할 수 있으며 고유명의 변별적 속성, 의미, 지칭 결정의 문제 모두에 대한 통합적인 이론적 답을 제시해줄 수 있다. 그러나 사회적인 이름사용관행을 통해서 고유명의 의미론적 지시체가 결정되며, 고유명이 공적 자연언어의 일부로서 사회적 규약의 지배를 받는다는 입장 역시 적어도 동등한 수준으로 맥킨지가 설명하고 있는 지칭 결정의 영역을 설명할 수 있다. 이러한 입장은 또한 앞서 언급한 세 가지의 문제 모두에 대해서도 개인주의와 마찬가지로 통합적 설명을 제공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지칭 결정에 대한 이름사용관행 중심 이론의 설명은 일반성과 단순성 차원에서 개인주의 이론에 비해 상대적인 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개인주의 이론이 고유명의 사회성을 배제하는 데 성공했다고 볼 수 없으며 사회적 이름사용관행에 기초한 고유명 이론은 여전히 설득력이 있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3,745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A Name-Using-Practice-Based Theory of Reference about Proper Names. 이풍실 - 2022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53:85-114.
Kripke’s Newton/George Smith problem and a naming-using-practice-based theory. 이풍실 - 2018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37:185-217.
Connotation of Proper Names and Essence of Reference - An Appraisal on Direct Reference Theory -. 김용덕 - 2022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10:43-73.
Civil Society, what will it do? 이상형 - 2022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164:213-245.
The Role and Meaning of John Rawls"s Self-Respect and Social Bases of Self-Respect. 목광수 - 2017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7:125-149.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5 (#847,061)

6 months
3 (#1,723,834)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