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ucture of symbol and Empting the mind in Zhuangzi s Carefree journey - with the focus on KuoHsiang’s commentary on Zhuangzi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2:167-187 (2020)
  Copy   BIBTEX

Abstract

이 논문의 목적은 장자가 전략적으로 전체의 상징적 비유를 통해 사람들이 점 진적으로 마음을 비우도록 하고 있음을 밝히는 것이다. 첫 단락의 붕과 작은 새는 삶의 형태가 사람들에게 천양지차로 다를지라도 단순하게 욕망을 쫓는다는 점에서 사람을 동 물로 격하시켜 이야기한 것이다. 그 다음 단락의 송영자와 열자는 욕망을 벗어던지려고 수행 한다는 점에서 사람을 사람으로 언급한 것이다. 그 다음 단락의 요와 허유는 임금 자리마저도 서로 양보할 정도로 사람다운 사람들이라는 점에서 성왕이나 현인을 빌어 표현한 것이다. 그 다음 단락의 막고야산의 신인은 사람이 사람답게 되면 세상을 떠나 흔적 없이 산다는 점에서 신선으로 말한 것이다. 의 기괴하고 신비한 이야기 전개는 마지막 단락 ‘무하유지 향’으로 마무리되니, 그것은 전체를 ‘마음 비움’으로 매듭짓기 위함이다. 장자는 사람들이 마음을 비우도록 상징적 비유를 통해 아주 교묘하게 그 이야기를 전개 했다. 이런 점에서 붕을 비상하는 성인으로 보는 것은 장자의 의도를 어기는 것이고, 또 장 자의 문장 전개 방식과 맞지 않는 것이다. 장자가 붕과 작은 새를 가지고 욕망에 찌든 인간 군상의 상징으로 표현한 것은 욕망에서 벗어나려고 노력해야 사람이 된다는 복선이다. 사람 으로 표현되는 송영자 열자를 거쳐 요 허유를 등장시킨 것은 사람다운 사람의 완성을 상 징적으로 비유하기 위함이다. 이어서 흔적 없이 사는 신인이 등장하는 것도 결국 성인이나 현인이라는 이름까지 모두 버려야 한다는 상징적 암시이다. 마지막의 무하유지향은 마음을 비운 그곳이 우리의 낙원이라고 장자가 자신의 입으로 직접 강조하는 것이다. 이 글은 이런 점을 염두에 두고 를 읽을 때, 장자의 의도를 더 깊이 완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 이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3,612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The Emptying Mind of Lao-tzu and Zhuangzi in SunEon and NamHwaGyeongJooHaeSanbo. 김학목 - 2020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3:105-129.
Habituation and Pleasure. 전헌상 - 2022 - CHUL HAK SA SANG - Journal of Philosophical Ideas 86 (86):37-68.
The Paradox of Stop and Flow in Chuang-tzu’s Philosophy. 송정애 - 2017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8:253-273.
A Study on Si-Cheonju. 이재봉 - 2016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74:183-204.
Philosophical Criticisms on Greene’s Neuron-image Experiments.Gwak-hee Han - 2023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166:257-283.
The Debate on Xin: Zhuangzi’s Argument and Xunzi’s Response. 신정근 - 2016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29:27.
Metaphor and Symbol of I ching. 구미숙 - 2021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6:23-53.
Ethics of Feeling in Whitehead Philosophy. 김영진 & 김상표 - 2017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0:127-163.
An Ontological Interpretation of “WE”. 이섭 - 2017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19:237-264.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3 (#1,213,485)

6 months
3 (#1,723,834)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Sorry, there are not enough data points to plot this chart.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