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Two Aspects of Zhuangzi’s Self-Cultivation and the Multilayered Structure in the Concept of Naturalness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170:299-321 (2024)
  Copy   BIBTEX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장자』 의 두 가지 수양 방식에서 발견되는 자연성의 중층적 구조를 규명하는 것이다. 장자의 수양론은 타고난 자연성을 회복하는 비워내는 수양과 일상의 경험이 쌓여 새로운 자연성을 체득하는 쌓아가는 수양으로 구성된다. 전자가 노자의 초월성을 수용한 장자의 사유라면, 후자는 그 초월성을 경험적으로 해석하여 스스로 발전시킨 사유이다. 비워내는 수양은 「덕충부」에서 「전자방」을 통해, 쌓아가는 수양은 「양생주」와 「달생」을 통해 각각의 서사적 흐름을 구성한다. 이 자연성의 중층적 구조를 통해 장자의 철학은 초월과 경험이라는 상충하는 두 가지의 중첩을 허용하는 형태로 구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BR 자연성의 중층적 구조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구조 간의 연결 원리를 밝혀야 한다. 필자는 두 가지 방향에서 접근한다. 첫째, 전통적 초월성을 경험적 시선에서 재해석한 수평적 초월 개념을 도입한다. 수평적 초월은 현실세계에 바탕을 두면서 자신을 넘어서는 스스로 변화하는 우리의 능력이다. ‘변화’라는 지점에서 수평적 초월과 장자철학의 접점이 발생한다. 둘째, 전통적 초월 개념의 재해석은 경험의 두 측면을 통해 이루어진다. 우리의 경험은 신체적/물리적 층위의 경험에서 은유와 상상이란 사유 방식을 통해 정신적/추상적 층위의 경험으로 확장한다. 『장자』에는 다양한 우언(寓言)과 상상의 행위에서 발생하는 여러 서사가 있다. 장자가 노자의 초월성을 수평적 초월로 재해석할 수 있는 것은 신체적/물리적 층위에서 자신의 사유를 확장했기 때문이다.BR 장자는 자연성의 중층적 구조를 통해 초월과 경험을 통합적 시각에서 사유하였다. 이것은 경험적·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것과 그렇지 못한 것이 우리 삶에 공존한다는 삶의 총체성을 부각한 것이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3,779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An Experientialist Account of Price’s Functional Pluralism. 김혜영 - 2017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78:169-191.
The Debate on Xin: Zhuangzi’s Argument and Xunzi’s Response. 신정근 - 2016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29:27.
Harry Frankfurt and the Negativity of the Ambivalence of Will.Hyun-Jeong Kang - 2023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166:1-31.
The Zhuangzi in the Tang Dynasty’s Painting Theories. 강여울 - 2021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6:1-21.
The Emptying Mind of Lao-tzu and Zhuangzi in SunEon and NamHwaGyeongJooHaeSanbo. 김학목 - 2020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3:105-129.
Sartre and the problem of solipsism. 이솔 - 2016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4:297-313.
Zhuangzi’s ‘Wuqiong(無窮)’ and ‘Borders(封)’. 강여울 - 2020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1:1-26.

Analytics

Added to PP
2024-06-20

Downloads
0

6 months
0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Sorry, there are not enough data points to plot this chart.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