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lf-Scrutiny and Therapeutic Meaning in Zhuxi’s Theory of Reading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3:249-267 (2021)
  Copy   BIBTEX

Abstract

주자는 『讀書法』에서 讀書가 心身이나 性命의 문제를 벗어나 단순한 지식탐구로 빠지는 위험에 대해 늘 고도의 경계심을 가지고 있다. 주자는 독서 혹은 경전을 읽는 해석 활동자체를 심신수련의 工夫와 실천으로 보고 그것을 치료적 사유를 통하여 비유하고 있다. 세계의 만사만물은 모두 理를 가지고 있지만 그것들이 가진 理를 하나하나 다 고찰할 수는 없다. 성현의 문장 속에 그 理의 핵심이 모두 담겨 있기 때문에 이치를 발견하려면 성현의 책을 읽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주자는 말한다. 경전은 독자의 마음과 성인의 마음을 서로 연결시켜주는 교량 역할을 한다. 독서를 오로지 종이 위에서 의리를 구하는 것으로 끝내서는 안 되고 반드시 자기 자신에게 돌아와 切己體察하여야 한다. 주자가 보기에 독서는 자기완성의 실천과정으로, 끊임없이 자기에게 절실한 것으로 나아가 점검하고 살피기를 요구한다. 주자가 말하는 독서의 일차적 목적은 切己체험의 공부이다. 이런 절기체험의 공부는 자신이 가진 허물과 병을 스스로 진단하여 치유하는.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3,612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The Problem of Xing and Qizhi in Cheng Yi's Philosophy. 박승원 - 2011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31 (31):7-32.
17세기 尤庵학단의 虛靈 개념 논변. 이선열 - 2009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58 (58):7-46.
The Problem of Category Misunderstanding in the Theory of Taiji of Ganjae Jeonwu. 주광호 - 2023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165:201-232.
Zhu Xi's Interpretation of 'Keji Fuli' in the Analets. 정현정 - 2014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80 (80):89-114.
Aspects of the Use of Wisdom and Brightness in the Four Books. 임종진 - 2022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9:387-409.
Yizhuan’s Viewpoint on the Equality among Heaven, Earth and Human, and Sage. 정병석 - 2016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77:257-280.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2 (#1,820,763)

6 months
1 (#1,719,665)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