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lection and Mediation: Parliament and the Public Sphere in Hegel’s Philosophy of Law - A Critique of Honneth’s Interpretation of Hegel -

CHUL HAK SA SANG - Journal of Philosophical Ideas 91 (91):41-68 (2024)
  Copy   BIBTEX

Abstract

헤겔은 『법철학』에서 의회와 공론장을 “국가”의 핵심적인 제도로서 다룬다. 헤겔의 논의가 통상적인 자유주의적인 논의와 상당한 차이를 보이는 까닭에, 그 이론적인 근거를 규명하려는 노력이 다각도로 이루어져 왔다. 본 논문은 이 주제와 관련해 반성과 매개의 개념에 주목한다. 의회와 공론장을 사회와 국가 사이의 반성적인 매개기관으로서 규정하는 것은 일반적이나, 헤겔의 사유는 반성과 매개에 대한 그의 독특한 관점을 통해서 고유성을 드러낸다. 헤겔에서 이 개념들은 사회의 합리성 및 국가의 정당성 문제와의 관련성에서가 아니라, 국가가 사회의 국가로서 존립하고 기능할 수 있어야 한다는 문제와 관련해서 그 의미를 얻는다. 본 논문은 이러한 독해를 헤겔의 『법철학』을 참조하여 상론하되, 특히 악셀 호네트의 독해를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그 논지를 뚜렷하게 할 것이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3,612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Happiness, State and Politics in Hegel’s Philosophy of Law. 소병일 - 2020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42:129-150.
Hegel’s theory of action. 이석배 - 2017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30:25-48.
A Critical Examination of Fukuyama’s Argumentation on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백훈승 - 2020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9:117-143.
The Systematic Status and Structure of ‘Recollection’ in Hegel’s Theory of Representation. 권대중 - 2018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4:377-396.

Analytics

Added to PP
2024-03-26

Downloads
14 (#996,581)

6 months
14 (#254,536)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