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e and Development of Medieval Universities as a Stronghold of Academic Freedom

The Catholic Philosophy 26:5-56 (2016)
  Copy   BIBTEX

Abstract

현대 대학들은 시장 경제의 원리에 따라 연구결과물의 양산과 취업률의 제고에만 온 정신을 집중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비판적 지성인들은 ‘폐허의 대학’ 또는 ‘대학의 기업화’라고 부르며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그렇다면 대학의 몰락을 이겨내기 위한 새로운 대안과 방향성은 어떻게 발견될 수 있을까? 여러 학자는 대학의 오랜 역사, 특히 중세 대학의 설립과정에서 해답을 찾고자 한다. 그렇지만 일부 학자는 중세 대학에서는 아예 학문의 자유가 보장되지 않았다는 주장을 펼치기도 하다. 본 논문에서는 대학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우선 중세 대학의 발생 배경과 유형들, 그리고 구조 등을 통해 발전 과정(1장)을 살펴보겠다. 이어서 중세 대학이 정치적 억압으로부터의 독립을 추구하는 과정과 교회 권력의 통제에 대해 저항하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외부권력‘으로부터의 자유’를 추구하는 과정을 탐구할 것이다.(제2장) 이를 토대로 과연 중세 대학이 지키려 했던 소중한 가치가 진리를 추구하려는 학문에 대한 사랑(amor scientiae)이며 이를 위해 ‘교수와 학생의 공동체’이 이루어졌음을 밝힐 것이다. 이러한 소중한 가치를 지키기 위해 중세의 대학은 동맹 휴학이나 철수를 포함한 참으로 다양한 방법을 동원했고, 필요에 따라서 교황과 왕이나 귀족을 자신의 보호자로 삼기도 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강의 금지령이 성과를 거두지 못한 것에서 중세 대학의 자율성은 잘 드러난다.(제3장) 중세의 대학이 추구했던 가치를 통해서 위기를 겪고 있는 현대의 대학인들은 다양한 교훈을 얻을 수 있다. 다양하고 교묘한 형태로 나타나는 현대 대학에 대한 통제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대학인들이 단지 눈앞에 작은 이익에만 매몰되는 일 없이, 자신이 추구하고 있는 학문적인 이상을 뚜렷이 자각해야 한다. 효율적인 기술자 양성에 적합한 방법을 모든 기초 학문에도 적용하려는 경향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중세 대학의 인문학부에서 이루어진 통합적인 교육과정을 주목해야 한다. 상위학부를 위한 기초과정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했던 ‘인문학부’처럼 변화하는 개별적인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보편적인 교육을 지향해야 한다. 또한 중세 대학에서 추구했던 평등의 원리에 따라 대학의 주체인 구성원들이 모두 ‘함께 지배하기’(shared governance)에 참여함으로서 이미 심하게 손상된 대학의 공동체 정신을 회복해야 한다. 우리가 가르치는 학생들과 동료들을 진정한 가족으로 바라 볼 때, 우리의 대학들은 경쟁의 두려움에서 벗어나 ‘지혜의 집’이 주는 아늑함과 형제애를 느끼는 장소가 될 것이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3,031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Nietzsche and the Purpose of university education. 이상엽 - 2017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79:69-91.
Education of Neoliberalism or ‘Uneducation(Unbildung)’. 주광순 - 2016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15:301-324.
Meaning and Direction of Value Education in College. 이원봉 - 2016 - The Catholic Philosophy 26:85-110.
Mourning and Forgiveness of the Death. 공병혜 - 2020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2:23-45.
A Reflexive Approach to the B ias of AI and the Paradox of Enlightenment. 정성훈 - 2021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32:199-227.
A Critical Examination of Husserl’s Thoughts on Europe Focusing on Crisis. 김정현 - 2021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4:109-140.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7

Downloads
10 (#1,221,414)

6 months
8 (#415,703)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