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hn Passmore’s Argument on ‘Preservation’ and Its Justification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166:143-171 (2023)
  Copy   BIBTEX

Abstract

보존이란 인간의 활동을 규제해서라도 야생자연이나 생물종을 있는 그대로 지켜야 한다는 사고다. 하지만 패스모어는 인간이 문명의 건설 · 발전을 위해 야생지를 개발하고 생물을 멸종시키는 현 상황이 대체 무슨 문제가 되는가 하는 물음을 제기한다. 야생지 개발과 생물종 파괴가 잘못이라는 판단에 대한 합의는 전혀 이뤄진 적이 없음에도 마치 일정한 합의가 이뤄진 것처럼 보존만이 옳은 것처럼 강조하는 이유가 대체 무엇인가 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패스모어는 보존에 반대하는 논증을 전개한다. 이 글에서는 패스모어의 보존에 관한 논의 가운데 세 가지 사항을 문제삼아 그 정당성을 검토하고 있다. 그 세 가지란 ①보전과 보존의 개념 문제, ②동식물의 권리 문제, 그리고 ③생물다양성의 원리 문제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3,031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Forgiveness as Something We do. 이선형 - 2019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38:75-96.
Wilderness Philosophy and Ecology. 김완구 - 2012 - Environmental Philosophy 14 (14):61-92.
Integrity for a happy life. 한곽희 - 2018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36:109-134.
The Problems of AMA’s Moral Status. 이재숭 - 2020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2:527-545.
Will I Make any Difference? - Climate Crisis and Individual Ethics -. 최훈 - 2023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55:105-131.
Phenomenological Clarification of the Origin of Seed in Yusik Buddhism. 이남인 - 2017 - Phenomenology and Contemporary Philosoph 72:65-91.
Demonstration Problem of the Transcendental · Objective Final Grounding. 이재성 - 2017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9:247-272.

Analytics

Added to PP
2023-06-14

Downloads
8 (#1,343,911)

6 months
3 (#1,046,495)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