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giveness and Gift

EPOCH AND PHILOSOPHY 33 (3):67-100 (2022)
  Copy   BIBTEX

Abstract

이 글은 과거의 잘못에 대한 대응 방식으로서의 용서를 다룬다. 용서는 복수나 처벌, 또는 복구나 보상 등처럼 잘못을 응징하거나 잘못에 의한 피해받은 상태를 이전과 유사하게 되돌리는 조처와는 달리, 인과적 사태의 진행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넘어서서 새로움을 가져오는 행위라고 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용서에 관한 여러 철학자들(아리스토텔레스, 안셀무스, 헤겔, 니체, 아렌트 등)의 견해가 검토되며, 특히 에마뉘엘 레비나스와 자크데리다의 견해가 중점적으로 부각된다. 레비나스와 데리다에 따르면, 진정한 용서는 계산을 넘어서는 비대칭성을 지니며, 그런 면에서 무조건적 면모를 바탕으로 삼는다. 용서의 이러한 면은 교환이나 거래의 틀 안에서 다루어질 수 없는 선물의 특성과 연결된다. 용서는 잘못과 결함으로 망가지고 낡은 삶을 갱신케 하는 선물인 셈이다. 이렇듯 용서는 우리가 관장하지 못하는 영역과 관계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 글은 용서란 우리가 하는 것이기에 앞서 우리가 받는 것임을 내세운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3,745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Forgiveness as Something We do. 이선형 - 2019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38:75-96.
Hannah Arendt s Concept of Political Forgiveness. 김선욱 & 성신형 - 2020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2:109-134.
Mourning and Forgiveness of the Death. 공병혜 - 2020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2:23-45.
Nietzsche's concept of the gift. 이선 - 2016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76:1-30.
The Ought-Implies-Can Principle and Epistemic Normativity. 이병덕 - 2020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45:161-184.

Analytics

Added to PP
2023-01-08

Downloads
2 (#1,450,151)

6 months
2 (#1,816,284)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