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rl Schmitt and Jacques Derrida : Deconstruction of the Sovereignty

Phenomenology and Contemporary Philosoph 78:3-42 (2018)
  Copy   BIBTEX

Abstract

이 글에서 내가 다뤄보려고 하는 첫 번째 주제는 주권에 관한 데리다의 작업이다. 주권의 문제는 초기 데리다 저술에서는 거의 논의의 대상이 되지 않다가 1990년대 후반 이후 법, 정의, 폭력, 환대, 세계시민주의 등과 더불어 데리다 정치철학의 주요 주제가 된다. 주권에 관한 데리다의 논의는 그의 철학에 고유한 유사초월론의 논리에 기반을 둔 매우 사변적인 논의이지만, 세계화 이후 전개되는 국민국가의 쇠퇴, 이주, 난민, 국경의 폭력 등의 문제에 대해 매우 많은 시사점을 제시해준다. 데리다의 주권 개념의 특성을 칼 슈미트에 대한 데리다의 독해와 관련하여 살펴보는 것이 이 글의 두 번째 주제다. 정치적인 것의 개념에 초점을 둔 데리다의 슈미트 독해는 슈미트 정치철학 및 법철학의 핵심개념인 적과 동지의 구별, 결정, 주권 개념이 암묵적으로 기반을 두고 있는 주체성의 논리의 한계를 보여준다. 아울러 주권이라는 것은 자기성의 원리에 기반을 두지만, 자기성에 고유한 면역의 메커니즘은 자기면역의 한계를 드러낸다. 따라서 주권에 관한 데리다의 논의는 근대 주권 개념이 지닌 양가성 내지 아포리아를 보여주며, 이는 주권의 국민적 전제를 변혁하기 위한 실마리를 제공해준다는 것이 이 글의 결론이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3,745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Derrida: the Deconstruction of Truth. 주재형 - 2020 - Phenomenology and Contemporary Philosoph 87:1-31.
Merleau-Ponty’s Linguistic Theory as a Pioneer of Derrida’s Grammatology. 서동욱 - 2018 - Phenomenology and Contemporary Philosoph 77:93-111.
A Deconstructive Reading on Lacan’s Psychoanalysis - In the Comparison between Derrida and Lacan -. 손영창 - 2020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2:221-246.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1

Downloads
3 (#1,213,485)

6 months
2 (#1,816,284)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