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Humanities and Problem Solving in Korean Youth Suicide Problem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9:157-175 (2017)
  Copy   BIBTEX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의 청소년 자살 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해소하기 위한 방안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자살은 삶의 ‘위기’로 파악된다. 우리는 인간 삶의 위기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을 인문학적 방법, 특히 현상학에서 찾는다. 우리가 한국 사회의 청소년 자살을 문제로 삼는 것은 청소년기의 삶이 미래에 미칠 수 있는 영향력 때문이다. 청소년들은 성장과정에서 신체의 변화와 정체성의 혼란을 경험하고 불확실한 미래로 인해 심리적으로 불안정한 상태에 빠진다. 이러한 상태를 심리적이고 생리학적인 측면에서의 병적 상황으로 받아들이는 것은 자살 문제를 해결하는 데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 현상학은 모든 문제 상황은 구체적 삶 속에서 드러난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런 까닭에 현상학적 방법은 공교육 내에서의 인문학적 교육의 새로운 가능성이기도 하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2,991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Study on the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Han(韓)-nation in terms of ‘Fence-culture’. 김영필 - 2018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4:111-132.
Personality Educational Implication of Toigye’s Thought. 이현지 - 2018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1:313-331.
Teaching methods for improving sense of meaning in life. 추병완 - 2019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124):183-213.
Body Memory and Self-identity. 공병혜 - 2018 - Phenomenology and Contemporary Philosoph 78:149-178.
On the Life Which is Shown What Cannot Be Said. 하영미 - 2023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104:393-420.
Frege and Hilbert on Implicit Definitions. 박준용 - 2017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18:111-141.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1 (#1,912,083)

6 months
1 (#1,515,053)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Sorry, there are not enough data points to plot this chart.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